가덕도신공항 예산 9천640억,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 청신호
정부, 내년 예산안 의결, 부산 역점사업 대거 반영
교통·물류·금융·신산업·문화, 지역발전 사업비 고루 포함
- 내용
가덕도신공항 2029년 조기 개항에 청신호가 켜졌다. 내년 정부 예산에 가덕도신공항 건설 등 부산 역점사업 예산이 고루 반영돼 글로벌 허브도시 추진 동력을 대거 확보했다.
∎2025년 정부 예산안-부산 국비
기획재정부가 지난 8월 27일 발표한 2025년 정부 예산안에 따르면 부산시가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을 위해 추진하는 교통·물류, 금융·창업, 디지털·신산업, 문화·관광 분야 역점사업들이 두루 포함됐다.
△부산시의 가덕도신공항 조성 구상도.
‘교통·물류’ 분야는 가덕도신공항 2029년 말 개항을 차질 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부지조성, 접근 철도·도로 관련 공사·보상비 등 9천640억 원이 반영됐다. 낙동강을 횡단하는 교량인 대저대교 172억 원, 엄궁대교 138억 원, 장낙대교 30억 원이 포함돼 건설 사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가덕대교∼송정 나들목(IC) 고가도로 건설 67억 원, 부산신항∼김해 간 고속도로 건설 728억 원,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건설 633억 원, 도시철도 하단∼녹산선 건설 100억 원이 포함됐다.
‘금융·창업’ 분야에서는 북항 글로벌 창업허브 71억 원,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 26억 원, 해양과학기술 산학연 협력 센터 57억4천만 원 등이 반영돼 ‘글로벌 금융도시’, ‘아시아 대표 창업도시’ 도약에 탄력이 붙게 됐다.
‘디지털·신산업’은 수출용 신형 연구로 개발·실증 1천921억 원, 중입자 가속기 구축 지원 48억 원을 포함해 신산업 중심의 산업지도 재편에 속도를 내게 됐다. 올해부터 착공에 들어가는 공동어시장 현대화 사업 360억 원, 수산식품산업 클러스터 20억 원, 선용품공급업 디지털전환 지원사업 3억7천만 원 등이 반영돼 기존 지역산업의 혁신도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문화·관광’은 국제관광도시 육성 사업 43억5천만 원, 낙동선셋 화명에코파크 조성 7억8천만 원 등이 새롭게 반영됐다. 이 밖에 지방 광역상수도(취수시설) 건설 57억 원, 유기성 폐자원 바이오 가스화시설 건립 40억6천만 원 등이 포함됐다.
부산시장은 “역점사업들이 정부 예산안에 대거 반영돼, 부산을 ‘글로벌 허브도시’로 도약시킬 혁신의 파동이 지역 곳곳에 퍼져나갈 수 있게 됐다”며, “내년에 꼭 필요한 예산이 국회 심사 과정에서 빠짐없이 확보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작성자
- 부산이라좋다
- 작성일자
- 2024-09-27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202416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