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202204호 전체기사보기

사진이 곧 역사다

사회 변화시키는 사진 한 장의 힘

내용

'퓰리처상 사진전' 부산문화회관 5월 15일까지 


우리가 평화롭게 밥을 먹고 웃으며 티브이를 보는 시각, 다른 어떤 곳에서는 재난과 분쟁이 일어나고 내전으로 집을 잃은 난민이 생사의 갈림길에 서 있다. 사진 한 장에 그러한 역사를 담은 전시회가 열린다. 작품을 감상하며 우리 인류와 더 나은 세계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


세계 근현대사를 눈으로 보고 가슴으로 느낄 수 있는 전시 `퓰리처상 사진전'이 5월 15일까지 부산문화회관 전시실에서 열린다. 퓰리처상은 미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보도·문학·음악상으로 19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언론인 조지프 퓰리처가 1917년 컬럼비아대학에 200만 달러를 기부하며 시작됐다. 퓰리처상 수상의 영예는 `최고의 경지'라는 수식어로 표현된다.


16-2cw15
△김경훈 기자의 '장벽에 막히다'. 사진제공·부산문화회관


이번 전시에서는 1942년부터 2021년까지의 수상작 140여 점과 사진 뒤에 숨겨진 이야기들을 풍성하게 선보인다. 퓰리처상의 연도별 수상작을 감상하는 것은 근현대 세계사를 눈으로 읽는 것과 다름없다. △6·25전쟁 △세계 2차대전 △베트남 전쟁 △베를린 장벽 철거 △뉴욕 9·11테러 △아이티 재해 △홍콩 시위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근현대사의 핵심 사건을 담고 있다. 특히 한국 국적 사진기자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김경훈 기자가 미국과 멕시코 국경에서 최루탄 폭격을 피하고 있는 한 가족의 급박한 모습을 담은 작품도 만날 수 있다. 사진가들의 인터뷰로 구성한 설명이 함께해 사진이 영화의 한 장면처럼 생생하게 다가온다.


16-1
△작품들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공간. 


퓰리처상 수상작은 우리가 놓치고 있는 중요한 가치들을 상기시켜 준다. 사진기자들이 셔터를 누르는 순간 그 시대 역사가 기록되며, 단 한 장의 사진이 전 세계인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전쟁이 무엇인지도 모를 어린 소녀가 베트남 전쟁으로 모든 것이 타버려 실오라기 한 장 걸치지 못한 채 울면서 뛰어가는 모습을 담은 사진은 반전 운동을 만들어냈다. 수단 난민 캠프에서 굶주림으로 죽기 직전의 소녀를 독수리 한 마리가 노리고 있는 모습을 포착한 사진은 전 세계에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대대적인 구호를 이끌어냈다.


티켓은 성인 1만5천 원, 청소년 1만2천 원, 어린이(만3세 이상) 9천 원이다. 전시는 오전 10시∼오후 7시 관람할 수 있으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자세한 사항은 부산문화회관 홈페이지(bscc.or.kr) 참고.


※ 문의:051-607-6000


※ 모든 전시·공연 일정은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따라 변경 또는 취소될 수 있습니다.


작성자
강아랑
작성일자
2022-02-28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202204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