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810호 전체기사보기

수리조선산업에 대한 인문학적 보고서

부산의 책|깡깡이마을 100년의 울림-산업편

내용

영도구 대평동(현 남항동) 깡깡이마을을 이야기할 때 ‘산업’은 결코 빠질 수 없다. 영도의 자그마한 포구였던 깡깡이마을에 1912년 대한민국 최초의 근대식 조선소인 ‘다나카(田中) 조선소’가 들어서면서 이곳은 대한민국 조선 산업의 근거지가 됐다. 광복 후에도 조선업을 유지해 온 이 마을에는 현재 여덟 군데의 수리조선소와 260여 곳의 선박 수리 공장과 부품업체가 밀집해 있다. 깡깡이마을을 탄생시킨 근원이기도 한 마을의 산업의 역사를 인문학적으로 고찰한 ‘깡깡이마을 100년의 울림-산업편’이 나왔다. 
 

깡깡이예술마을사업단이 펴낸 책은 뛰어난 기술과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수리조선업을 100년 넘게 유지해 온 깡깡이마을의 역사적 사실과 숨은 비결 등을 꼼꼼하게 담고 있다.
 

이 책은 마을의 역사 및 주민 생애를 담은 단행본 3부작 시리즈 두 번째 책이다. 깡깡이마을을 이끈 중심축인 수리조선소 안에서 이뤄지는 작업과 대평동 조선산업의 역사, 공업사 및 부품공장의 이야기를 통해 한국 산업화의 숨은 주역인 깡깡이마을 사람들의 삶을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이번 책 작업에는 부산지역 청년문화인(작가 현수, 청년활동가 우동준, 만화가 배민기, 일러스트레이터 이세윤, 평상필름 권용협·최병훈)이 참여해 눈길을 끈다. 


부산의 책|깡깡이마을 100년의 울림-산업편 

▲깡깡이예술마을사업단 지음. 호밀밭 펴냄. 

작성자
김영주
작성일자
2018-01-10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810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