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신공항~해운대 지하고속도로 뚫자”
민간 제안 2026년 개통 목표 추진 … 완공하면 동서고가로 철거 전망
- 내용
우리나라 영남권 관문으로 새롭게 들어설 '김해신공항'과 해운대를 잇는 지하고속도로 건설이 추진된다.
부산광역시는 지난 23일 사상구 감전동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과 해운대구 송정동 부산·울산고속도로를 대심도(大深度·지하 50m) 터널로 연결하는 총연장 22.8㎞의 지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이 민간 제안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GS건설이 약 2조원을 들여 2021년 공사를 시작해 김해신공항 개항 시점인 2026년에 맞춰 개통하는 것을 목표로 국토교통부에 사업제안서를 제출한 것.
GS건설의 제안에 따르면 이 지하고속도로는 왕복 4~6차로로, 김해신공항에서 해운대까지 통행시간을 현재 1시간20분대에서 30분대로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사상, 학장, 진양, 부산시민공원, 벡스코, 좌동, 송정, 기장 등 8곳에 유·출입시설을 갖춰 만성 교통체증에 시달리는 황령터널과 광안대교, 장산로 등의 교통량을 30% 정도 흡수해 도심 주요 간선도로의 기능 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해신공항~해운대 지하고속도로가 2026년 개통하면, 건설한지 34년이 되는 동서고가도로(사상~진양 구간)는 철거될 전망이다. 동서고가도로 철거 후에는 아래의 평면도로 6~10차로를 활용해 BRT(간선급행버스체계) 노선 신설 등을 통해 현재 시속 25㎞에 불과한 통행속도를 50㎞ 이상으로 크게 개선할 계획이다. 소음이 심한 동서고가도로가 철거되면 도로 주변 상권이 사상스마트시티와 연계해 활성화되고, 김해신공항을 오가는 시내 관문도로 환경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시는 김해신공항~해운대 지하고속도로 건설 사업이 대부분 민자로 진행될 뿐만 아니라 4천억원 규모의 국비를 유치하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여, 4만명의 고용 효과, 5조원의 생산유발 효과, 9조원의 편익도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부산시는 이 지하고속도로가 동·서 균형발전, 상습 교통정체 해소, 국비유치 효과 등의 장점이 있으나, 도심에 지하고속도로를 뚫는 것인 만큼 부산발전연구원의 면밀한 검토와 시의회, 교통전문가,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국토교통부에 공식적인 의견을 전달할 방침이다.
▲김해신공항과 해운대를 잇는 지하고속도로 건설이 민간 제안으로 추진된다(그림은 김해 신공항~해운대 지하고속도로 구상도와 위치도).
- 작성자
- 구동우
- 작성일자
- 2017-03-29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772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