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한진해운 살리자!" 한목소리
부산시·상공계·시민사회 회생대책 정부에 촉구 … 민·관 비상대책반 가동
- 내용
국내 1위, 세계 7위의 해운사인 한진해운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소식에 부산 각계각층이 정부와 채권단 등에 적극적인 회생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광역시는 지난달 31일 '한진해운 사태에 대한 부산시 입장'을 발표하고 정부와 채권단에 적극적인 회생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국가와 지역경제에 미칠 파장 등을 고려해 한진해운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회생대책을 마련해줄 것을 요청했다.
시는 부산해양수산청, 부산항만공사, 항만물류협회 등 유관기관과 비상대책 전담팀을 구성했다. 비상대책반은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2대 국적 선사와 소속 해운동맹에서 환적화물의 50%가 이탈하면 부산항의 항만 부가가치 1천641억원이 사라지고, 1천247명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비상대책반은 해운산업과 연관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달부터 한진해운과 거래 실적이 있는 업체를 대상으로 업체당 5억원 한도로 300억원 규모의 특별운전자금을 긴급 지원한다. 부산신용보증재단도 조선·해운산업 관련 업체에 300억원 규모의 특례보증을 지원하고, 관련 산업 실직자 창업을 돕기 위해 100억원 규모의 특례보증을 새로 해주기로 했다. 또 해운산업 관련 실직자 구제를 위해 강서구 녹산공단에 '현장 일자리지원센터'를 설치해 운영할 계획이다.
민·관 대책회의도 열렸다. 지난 5일 부산시청에서는 한진해운 관련 민관합동 비상대책위가 열렸다. 이날 업계·학계 전문가들은 "한진해운을 살리는 것이 지금 벌어지고 있는 사태를 가장 빠르고, 적은 비용으로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고 입을 모았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조성제)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한진해운은 국가 기간산업의 한축이고 대체 불가능한 해운업체다"며 청산 움직임에 대한 반대를 밝혔다.
한진해운 법정관리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단체도 나섰다. 지난달 31일 부산항만발전협의회 등 25개 항만·단체 회원 2천여명은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5층 컨벤션센터에서 '한진해운 살리기 범시민 결의대회'를 열었다.
'한진해운 살리기 부산시민대책위원회'(가칭·대표 박인호·이승규)는 7~8일 이틀간 서울 금융위원회 및 칼빌딩 앞에서 '한진해운 살리기' 상경투쟁을 펼칠 계획이다.
▲부산지역 시민단체·해운·항만 관련업체 단체가 한진해운 법정관리 사태와 관련해 정부와 채권단 등에 적극적인 회생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사진은 ‘한진해운 살리기 부산시민 비상대책위원회’ 회원들이 지난 7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항공 빌딩 앞에서 한진그룹과 정부 차원의 한진해운 살리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부산일보
- 작성자
- 조현경
- 작성일자
- 2016-09-07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745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