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공단, 첨단스마트시티로 대변신
일반산업단지 전환, 재생사업지구 지정고시
민선 6기 ‘위대한 낙동강시대’ 첫 걸음 내딛어
- 내용
-
부산 사상공업지역이 첨단스마트시티로 탈바꿈한다. 부산광역시는 낡은 사상공업지역을 산업, 주거, 상업, 생태 기능이 어우러지도록 재생하는 '스마트시티' 밑그림인 재생사업지구 지정(안)을 지난 8일 고시했다. 재생사업지구는 사상구 주례, 감전, 학장동 일원 전용공업지역 302만1천㎡이다. 부산시는 이곳을 기반·지원·편의시설 확충 또는 개량을 통해 경쟁력 있는 산업공간으로 재창출할 계획이다.
재생사업지구 지정(안) 고시에 따라 사상공업지역은 일반산업단지로서 기능과 역할을 하게 된다.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복합용지 수용, 첨단업종 변경 등으로 용도지역 변경이 쉬워진다. 취·등록세 면제, 지방세, 재산세 등을 감면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업 및 지원시설 확충으로 산업단지 활성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재생사업지구는 산업시설용지(57%), 복합시설용지(12%), 공공시설(31%)로 계획돼 있으나, 앞으로 재생 시행계획에서 민간사업자가 사업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토지이용계획수립 제안 시 변경도 가능하다.
부산시는 시민 친화적 녹지 공간 조성을 위해 9곳의 소공원(3만388㎡)을 조성하고 사상공업지역을 가로지르는 감전천을 생태하천으로 복원(길이 2.9㎞)해 녹지공간을 확장할 계획이다. 특히 감전천 주변 일대를 환경 친화적인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시민아이디어 공모 등을 통해 시민 의견을 적극 수렴한다. 이밖에도 낙동강 고수부지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사상공단과 둔치를 연결하는 보행육교를 설치하고 공업지대 주차난 해소를 위해 8곳에 노외주차장(1만9천24㎡)을 마련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재생사업지구 지정 절차 이행에 이어 기획재정부에서 수행하는 예비타당성 사업 조사가 완료(8월 예정)되는 대로 재생시행계획용역을 시행하고, 2017년부터 공사에 나설 계획이다.
임경모 부산시 사상스마트시티추진단장은 "이번 사업은 민선 6기 서병수 시장의 공약사업일 뿐만 아니라 '서부산권 발전이 부산의 미래다'라는 서 시장의 시정철학이 담긴 사업"이라며 "총력을 다해 전국 최초의 노후공단 재생사업의 성공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 작성자
- 조민제
- 작성일자
- 2015-04-10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675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