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1% 더 늘리는데 1조3천억… 도심교통난 해결, 대중교통이 답
부산시, 대중교통 중심도시 선포
- 내용
-
부산이 '대중교통 중심도시'로 간다. 부산교통의 현실이 막대한 예산을 들여 도로와 다리 같은 교통인프라를 확충할수록 날로 늘어나는 자가용 승용차로 인해 교통혼잡이 가중되는 '브래스의 역설'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통인프라 건설에 천문학적 비용을 투입하는 대신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등 대중교통 활성화를 통해 도심혼잡을 줄이는 교통혁신에 나서기로 했다.
부산이 도로를 건설할수록 차량이 증가해 교통혼잡을 가중시키는 '브래스의 역설'을 해소하기 위해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정책을 편다(사진은 부산진구 진양사거리 일대 도로가 몰려드는 차량으로 인해 극심한 정체를 빚는 모습).부산시는 지난 3일 서병수 부산시장, 이해동 부산시의회 의장, 권기선 부산경찰청장, 운수업체 대표, 시민단체 대표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중교통 중심도시 부산 구현을 위한 범시민 참여 선포식'을 가졌다.
부산시는 이날 선포식에서 발표한 부산의 교통현황 자료를 통해 현재 21.5%인 도로율을 1%p 높이는 데 1조3천억원이나 들지만, 차량이 더 늘어나 오히려 체증이 심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부산의 도로율은 지난 2012년 20.94%에서 지난해 21.48%로 0.54% 늘어났지만, 같은 기간 차량등록 대수는 117만5천대에서 121만4천대로 3.2%나 증가했다. 이에 따른 혼잡비용은 1인당 113만원으로 서울 84만원, 대구 63만원에 비해 훨씬 높으며, 전국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저효율 고비용의 교통인프라 확충 정책 대신 대중교통 중심 정책으로 방향을 전환키로 했다. 대중교통 우선 시책, 대중교통 이용자 인센티브 제공, 자가용 승용차 수요관리 시책을 펼쳐, 현재 42.4%에 불과한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을 2020년까지 60%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대중교통 우선 시책으로 2018년까지 가야로, 해운로, 낙동로, 백양로 등에 시내버스 전용차로 21㎞를 추가로 신설한다. 중앙로와 가야로 등에 간선급행버스(BRT·Bus Rapid Transit) 체계도 구축한다. 내성~송정, 내성~충무동, 서면~사상 구간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제를 시행할 방침.
대중교통 이용자 인센티브 제공을 위해 오는 7월부터 환승요금 200원(청소년 130원?어린이 50원)을 무료화하고, 2017년부터는 교통카드로 매월 일정 금액 이상을 대중교통비(경전철 제외)로 지출하는 시민에게 이용요금의 10%를 할인해 줄 계획이다.
자가용 승용차 수요관리 시책으로 2017년부터 출·퇴근 시간에 차량이 많이 몰리는 황령터널과 동서고가로 등지에서 나홀로 자가용 승용차에 대해 교통혼잡통행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시민공청회 등을 통해 검토할 계획이다.
권갑현 부산시 교통운영과장은 “자가용 승용차를 이용하는 시민 10%만 대중교통을 이용해도 연간 4천288억원의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며 “올해를 부산이 대중교통 중심도시로 전환하는 원년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 작성자
- 구동우
- 작성일자
- 2015-03-1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670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