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통합 방사능 감시시스템 갖춘다
시 전역 25곳 무인 감시망 가동…헬기 활용 공중 감시망도 구축
원자력안전대책위 논의
- 내용
-
부산광역시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등으로 높아진 방사능에 대한 시민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자체 '통합 방사능 감시시스템을' 구축·운영한다.
부산시는 지난달 30일 시청 재난종합상황실에서 정경진 행정부시장을 포함한 원자력안전 전문가 14명이 참석한 가운데 원자력안전대책위원회를 열고, 올해 원자력안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주요 내용은 '원자력으로부터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도시 구현'을 목표로 △자체 통합 방사능 감시시스템 구축·운영 △원자력시설 방호·안전대책 강화 △방사능 재난대비 비상대응역량 강화 등이다.
부산시는 지난달 30일 원자력안전대책위원회를 열고, 자체 통합 방사능 감시시스템 운영 등 올해 원자력안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사진은 부산시청 재난종합상황실에서 가진 회의 모습). 사진제공·국제신문부산시는 우선 자체 통합 방사능 감시시스템을 구축·운영을 통해 시민불안 해소에 힘을 쏟는다. 이를 위해 시 전역 25곳에 무인 자동 환경방사선 감시망을 가동하고, 경찰청 헬기 등을 활용해 공중 방사선 감시에도 나선다. 군·경 차량 등에도 방사선 감시장비를 장착해 월 2차례씩 탐지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부산시민이 먹는 수돗물과 각종 식품의 방사능 오염 여부를 철저히 분석하고, 바다와 강, 토양, 대기 등의 방사능 오염 여부도 연간 600여건 이상 분석해 데이터를 축적할 계획이다.
자체 통합 방사능 감시시스템을 통해 수집·분석한 각종 데이터는 '부산시 방사선 안전정보' 사이트(fermi.busan.go.kr)를 통해 시민에게 공개할 방침.
부산시는 이와 함께 신고리원전 3·4호기 세부 안전진단 등 원자력시설 방호·안전대책을 강화하고, 방사능 보호마스크 등 주민보호를 위한 장비를 확보하는 등 비상대응역량도 지속적으로 키워 나가기로 했다.
한편, 부산시는 후쿠시마 원사고 이후 고리원전 등 안전대책 마련을 위해 지난 2011년 5월 전국에서 처음 원자력안전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원전 관련 각 분야 전문가와 시민사회단체 대표 등이 위원으로 참여하는 이 위원회는 부산시의 원자력안전정책에 대한 자문과 원전안전 감시활동 등을 수행하고 있다.
배병철 부산시 원자력안전과장은 "원자력안전대책위원회는 앞으로 원전안전과 관련한 자문 역할을 넘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부산시는 원자력안전대책위와 적극 협력해 시민들이 방사능으로부터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작성자
- 구동우
- 작성일자
- 2015-02-02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666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