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전체기사보기

부산의 신물류 동맥 브리지 오브 부산!

2014년 6월 17일 부산시 정책회의 스케치

내용

부산항대교가 착공 7년 만에 대공사를 마치고 개통함으로써 남해안 신(新) 물류 동맥 역할을 할 부산 해안순환도로망(항만 배후도로)이 완성되었습니다. 부산 해안순환도로망에는 광안대교에서 거가대교까지 7개의 해안 교량이 있습니다. 형태도 다양하고 다리 건설 방식도 다 다릅니다.

현수교(광안대교), 사장교(부산항대교), 아치교(신호대교), 세계 최장 침매터널(거가대교), 경사교량(가덕대교) 등 다양한 형태로 건립됐습니다. 부산의 아름다운 해안경관과 어우러져 그 자체만으로도 뛰어난 볼거리입니다. 관광명소로서 손색없습니다.

내게 이름을 붙여줘!

부산 해안순환도로의 7개 교량.

해서, 부산시는 7개 해안 순환 교량을 관광자원화하기 위해 ‘하나의 명칭’으로 브랜드화해 부를 수 있는 통합 브랜드 네이밍(명칭)을 공모합니다. 이름 하여, '브리지 오브 부산(Bridge of BUSAN), 세계 명품화'.

공모 기간은 6월 30일까지. 거주 지역 제한 없이 누구나 응모할 수 있습니다.
부산시 홈페이지(www.busan.go.kr)에서 참가 신청서(제안서)를 내려 받아 작성한 후 이메일(****@korea.kr) 또는 우편(연제구 중앙대로 1001 부산광역시청 건설정책과)으로 접수하면 됩니다.
대상 1명 포함 모두 33명을 선정하여 시상하고, 시상금 빵빵합니다요.^^
자세한 사항은 부산시 홈페이지를 참고하거나 전화(☎888-2932)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한국관광공사 ‘2014 베스트 그 곳’ 부산 선정

이기대 갈맷길과 이어지는 부산의 상징 오륙도의 풍경.

부산이 한국관광공사 주관 '2014 베스트 그 곳'에 선정됐습니다.
올해가 가기 전, 온 국민이 꼭 한 번 가보고 싶은 대한민국 최고의 여행지로 꼽힌 겁니다.
한국관광공사는 지방관광 활성화를 위해서 매년 멋진 풍경, 맛있는 음식, 신나는 체험 거리까지! 이 모든 것을 즐길 수 있는 그 곳! 대한민국 대표 관광명소를 선정해 왔습니다. 올해는 부산을 비롯해 9개 지역이 선정됐습니다.

부산이 ‘2014 베스트 그 곳’에 선정됨으로써 대한민국 대표 관광도시로서의 위상을 다시금 확인하는 계기가 됐고요, 앞으로 유명 여행작가 부산 취재를 비롯해 대한민국 구석구석 게재 등 한국관광공사의 전략적, 집중적 홍보 지원을 받게 됩니다.
 

장마철 안점 점검 철저히

제주도는 오늘(17일)부터 장마가 시작됐다고 합니다. 평년보다 이른 장마랍니다.
내륙지방은 이달 말부터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급작스런 호우에 대비하여 부산시는 회동댐, 법기댐 붕괴 상황을 가정하여 주민대피 훈련을 실시합니다. 6월 18일부터 6월 20일까지 회동댐, 법기댐의 영향권에 있는 수영강, 온천천 권역의 6개 구·군 주민대피·시설관리 부서에 대해서 단계별 조치사항 점검 등 토론식 훈련을 실시합니다.

소방안전본부에서도 6. 20(금). 오후 2시 제394차 민방위훈련 때 긴급차량 골든타임 확보 훈련을 실시하고, 여름철 풍수해 대비 무선통신시설 점검도 실시하는 등 장마철 도시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재해와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도시, 내 주변부터 꼼꼼히 살펴보고 미리미리 대비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오늘 정책회의 스케치는 여기까지 입니다. 저는 다음 주 더 알찬 소식으로 다시 함께하겠습니다.

작성자
원성만
작성일자
2014-06-17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