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전체기사보기

6.4 지방선거, 가림막 없는 기표대?!

6.4 지방선거 꼭 알아야할 3가지 ③가림막 없는 신형기표대

관련검색어
지방선거|
내용

오는 6월4일 지방선거는 과거 선거와 달라진 점이 있습니다. 사전투표제의 도입과 가림막 없는 신형기표대가 그것인데요. 달라진 점은 아니지만, 유권자들이 헷갈릴 수 있는 1인7표제도 꼭 알아야할 것 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똑똑한 유권자가 되는 ‘6.4 지방선거 꼭 알아야할 3가지’ 그 마지막으로 ‘신형기표대’를 소개합니다.

가림막 없는 기표대, 이미 선진국에서 사용

출처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블로그 정정당당스토리 blog.nec.go.kr

이번 6.4지방선거에서는 가림막이 없는 신형 기표대를 사용합니다. 이미 미국, 일본, 영국, 독일 등에서는 가림막 없는 기표대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경우는 지난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선거와 제18대 대선 재외선거의 재외투표소에서 가림막이 없는 기표대를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가림막이 있는 기표대를 사용했지만, 외국에서는 가림막이 없는 기표대를 사용한 것입니다.

기표대에 가림막을 없앤 이유는 비밀투표를 보장하되, 선진국처럼 투표소 분위기를 밝고 쾌적하게 개선하기 위해서 인데요. 뿐만 아니라, 장애인이나 노인들이 가림막으로 인해 겪었던 불편을 해소하고, 누구나 편하게 투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기존 기표대를 교체하는 비용은?

우리나라는 선거할때마다 기표대를 새롭게 제작합니다. 왜냐구요? 2007년부터 ‘일회용’ 기표대를 사용해 한번 쓰고 폐기하기 때문인데요. 이렇게 들으면 ‘낭비’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11만개나 되는 기표대를 사용한 뒤에 보관 후 재사용하게 될 경우 ‘제작비’ 보다 ‘보관비’가 더 든답니다. 따라서 비교적 값싼 재질로 일회용 기표대를 선거때마다 새로 만들어 사용합니다.

이번 선거에 사용할 기표대를 새로 제작하면서 ‘신형 기표대’가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가림막이 없이 비밀투표?

출처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블로그 정정당당스토리 blog.nec.go.kr

가림막이 없다는 말에 가장 먼저 걱정되는 건 ‘비밀투표가 침해되지 않냐?’는 건데요. 위 그림을 보시면 기표대를 측면 방향으로 설치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기표대는 선거인이 기표대 안쪽으로 쏙~ 들어가게끔 설계되어 있어 독립적인 공간을 마련하고 있구요. 기표대는 1m이상 떨어트려 설치합니다. 첫 시도인만큼 불편을 호소하시는 분이 있다면 가람막을 부착해드린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식 블로거(http://blog.nec.go.kr/)에서 확인하세요.

작성자
김진아
작성일자
2014-05-22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