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수출, 금융위기 딛고 회복세
BS금융경영연구소 보고서… 자동차·부품, 기계·항공기부품 수출 증가 전망
- 내용
-
세계 금융위기 이후 어려움을 겪던 부산·울산·경남 등 동남권 지역의 수출이 앞으로 나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BS금융그룹(회장 성세환) 산하 BS금융경영연구소(소장 조성제)는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동남권 수출의 변화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금융위기를 전후한 동남권 주요 수출 대상 국가 및 수출품목의 변화와 특징에 대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권 수출은 금융위기 이후 증가세가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기 이전 5년간(2004~08년) 연평균 23.6% 증가했던 동남권 수출이 금융위기 이후 5년간(2009~13년)에는 연평균 1.1% 성장에 그쳤다. 이 같은 수출 둔화는 수출 1위 지역이었던 EU(유럽연합)의 수입수요 위축, 중국의 EU 수출 부진에 따른 중국에 대한 수출 둔화, 선진국 경기 침체에 따른 동남권 1위 수출 품목인 선박수출 감소 등 '삼중고'(三重苦)가 원인이었다.
보고서는 동남권 수출의 삼중고가 향후 점진적으로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EU의 성장이 플러스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EU의 경기개선은 우리나라 및 중국의 EU에 대한 수출 부진을 반전시킬 수 있는 요인이라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미국과 EU 경제 회복으로 세계교역량이 증가해 전 세계의 선박량 과잉문제 완화가 예상되므로 선박수출도 다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미국, EU 등 선진국 경제 증가세가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금융위기 이후 5년간 연평균 1.2% 성장에 그쳤던 미국이 향후 5년간 2.6~3.5% 성장하고, 같은 기간 -0.2% 성장으로 위축된 EU가 1.3~1.9%가량 성장할 것으로 예상돼 자동차, 자동차부품, 선박해양구조물, 항공기부품, 기계 등의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신흥국 역시 중국의 선진국 수출 확대를 예상하며 인도네시아와 인도 등의 수입 수요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금융위기 이후 부진했던 석유제품, 화학원료 등의 수출이 다시 회복되고 철강, 합성고무 등의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조성제 BS금융경영연구소장은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과 수입증가율이 각각 3.6%와 4.7%로 전년에 비해 높아질 것"이라면서 "2015년 이후 중기 전망도 긍정적이며 이로 인해 금융위기 이후 둔화 폭이 컸던 동남권 수출이 앞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작성자
- 조민제
- 작성일자
- 2014-05-2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630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