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산책 - 원전 안전성 점검
- 내용
원자력 발전은 인류가 개발한 에너지원 중 가장 적은 재료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생산하는 최고효율의 시스템이다. 자연자원이 빈약한 한국의 원자력 발전 비중은 전체발전량의 30%에 이른다. 당장 원전 몇 기만 가동이 중단돼도 전력수급에 비상이 걸리는 등 원전 의존도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효율과는 정반대로 한번 대형사고가 터졌다 하면 방사능 누출에 따라 재앙 수준으로 피해가 커진다. 일본 후쿠시마와 러시아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악몽을 떠올리면 끔찍하다.
특히 부산의 기장지역은 현재 가동원전 23기중 6기(고리 1∼4호기, 신고리 1·2호기)가 집중돼 있다. 가장 오래된 노후 원전지역이기도 하지만 신고리 3·4호기도 완공을 앞두고 추가로 건설 중이다. 사고가 터지면 반경 30㎞ 이내인 부산전역이 영향권에 들 정도로 위험하다. 기장군 고리지역은 지난 1970년대 말 처음으로 원전이 건설되기 시작한 이후 주민들이 이주 및 보상 문제 등으로 20여년 이상 고통을 겪어 왔다.
기장주민들의 이 같은 어려움을 딛고 원전의 특수성을 살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을 설립하고 원전을 이용한 각종 연구단지인 핵과학특화단지 등도 준비 중이다. 국립부산과학원, 야구 명예의 전당 등 종합 스포츠단지, 동부산관광단지 건설 등으로 부산의 미래로 급부상하는 지역이 됐다. 최근 도시철도 기장선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지역이 돼 사통팔달의 교통 중심지로도 부상이 예상된다. 이런 지역에 원전의 안전문제가 계속 부각된다면 부산의 미래는 여러 가지 면에서 심대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일단 검찰의 철저한 수사에 따른 일벌백계로 원전의 경각심을 갖고 안전성 문제를 전면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 여기에는 원자력 안전위원회와 감사원 등 모든 기관의 감시체계가 가동돼야 한다. 그동안 각종 납품비리가 터질 때마다 개선대책이 나왔지만 공염불에 그친 만큼 이제는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진정한 민관합동 감시체계가동 등 전면적인 안전대책 수립이 필요한 때다.
- 작성자
- 부산이야기
- 작성일자
- 2013-06-05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580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