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569호 전체기사보기

담뱃값 논쟁

생활경제 풀어쓰기

내용

담뱃값 인상 논쟁이 뜨겁다. 김재원 새누리당 의원은 담뱃값을 현행 2천500원(국산담배 기준)에서 4천500원으로 2천원 인상하는 내용의 개정법률안을 지난 6일 발의했다.

이 개정안은 담배 소비세를 현재 641원에서 1천169원으로 82% 인상하고, 국민건강증진부담금을 354원에서 1천146원으로 3배 이상 올리는 내용을 담았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09년 기준, 국내 담뱃값은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싸다. 제일 비싼 나라는 아일랜드로 한 갑에 1만4천975원이다. 그러나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담배가 서민의 애환을 달래는 것이라는 정서가 강하고 담배 소비는 가격에 비탄력적이기 때문에 소비를 줄이려면 매우 큰 폭으로 올려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그렇게 할 수 있겠는지 의문을 가지고 있다. 또 하나의 비판 논리는 물가상승이다. 담배는 물가 구성품목 483개 중 21번째로 가중치가 높고 이는 돼지고기와 비슷한 비중이라는 게 기재부의 설명이다. 정부가 담뱃값을 인상하면 유통업체인 GS리테일이 수혜를 본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최대 한 달치 물량재고를 비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GS리테일 입장에서는 인상금액의 8.5%에 해당하는 차익을 볼 수 있을 것이라면서 영업이익은 최대 980억원가량 증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이 추정은 담배의 수요탄력성이 0.4%이고 담배를 사고자 하는 사람들이 가격상승에 큰 신경을 안 쓴다는 가정에 따른 것이다. 정부가 생각보다 큰 폭으로 가격을 올려 흡연자가 지금보다 흡연량을 줄이거나, 담배를 끊어버린다고 할 경우 상황이 달라진다.

수요에 대한 가격탄력성은 한 재화의 가격 변화가 수요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나타내 주는 지표다. 수요량 변화율을 가격 변화율로 나눠서 계산하고 이 탄력성의 값이 1보다 크면 탄력적(가격이 높아지면 소비가 많이 줄어든다)이라 하고 1보다 작으면 비탄력적(가격이 높아져도 소비가 많이 줄지 않는다)이라 한다. 주로 사치품은 가격탄력성이 크고 필수품은 가격탄력성이 작다.

작성자
강준규 동의대 교수·경제학
작성일자
2013-03-20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569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