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558호 전체기사보기

아파트 음식쓰레기, 세대별 종량제 시행

인식카드 대면 쓰레기통 뚜껑 열려 배출
배출량·처리비용 음성·자막으로 알려줘
200가구 이상 아파트 15만 세대 대상

내용

부산지역 200가구 이상 아파트도 음식물쓰레기 세대별 종량제를 시행한다.

부산광역시는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세대별 종량제를 도입, 시행한다. 지금까지 아파트 입주민들은 세대별 쓰레기 배출량에 상관없이 전용면적 등을 기준으로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을 관리비에 포함해 납부해 왔다. 하지만 세대별 종량제를 시행하면 각 세대가 배출량에 따라 처리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어떤 방식으로 시행하나=아파트 입주민이 전자식별(RFID) 카드를 사용해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방식이다. 아파트 동·호수 등 세대별 정보가 담겨 있는 카드를 단지별 대형 쓰레기통 리더기에 갖다 대면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뚜껑이 열린다. 배출 후 다시 카드를 리더기에 대면 뚜껑이 닫히면서 음성과 자막으로 배출량과 처리비용을 자동으로 알려준다. 교통카드를 이용해 시내버스나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것과 비슷한 방식이다.

○언제부터 시행하나=2013년 1월1일부터 곧바로 시행에 들어갔다. 부산지역 200세대 이상 공동주택 52만여 세대 가운데 15만 세대를 대상으로 우선 시행한다. 가구별 종량제 대상 아파트단지를 점차 확대할 방침이다. 부산시는 30억원의 예산을 들여 공동주택 15만 가구에 세대별 종량제 카드 등을 보급하고 있다.

○왜 도입했나=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이 전체 47%나 차지하고 있다. 단독주택 배출량보다 23%p나 많다. 부산시는 그동안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세대별 종량제를 시범사업으로 실시한 결과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이 30% 가량 줄어드는 효과를 확인했다.

부산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하루 774t으로 처리비용만 연간 420억원에 이른다. 이 비용의 77%를 기초자치단체가, 33%를 주민들이 부담하고 있다. 공동주택 음식물쓰레기가 30% 가량 줄어들 경우 연간 60억원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서혜숙 부산시 자원순환과장은 “공동주택 세대별 종량제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줄여 처리비용을 아끼고 환경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각 가정에서 물기를 제거하는 노력만 기울여도 음식물쓰레기를 20~30% 이상 줄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자원순환과(888-3642)

작성자
구동우
작성일자
2012-12-31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558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