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전체기사보기

꾸준한 문화 인프라 지속 확충 통한 ‘도심 재생’

부산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창조도시 부산, 문화전략 정책토론회 열어

내용

“부산시민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도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문화예술에 바탕을 둔 ‘창조성’이 필수 요소입니다. 이 창조성은 꾸준한 문화 인프라 지속적 확충 위에 문화를 통한 ‘도심재생’을 목표로 합니다”

부산광역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가 ‘부산문화 어디로 가야하나’ 주제로 7일 오후 시의회 2층 대회의실에서 제3차 ‘창조도시 부산, 문화전략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는 부산시민의 문화 향유 방안과 시와 의회 시민단체간 역할 분담을 통한 부산문화의 나아갈 방향을 찾기 위한 자리였다.

부산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주최로 시의회 2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부산문화 어디로 가야하나’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문화전략’에 대한 토론을 실시하고 있다.

토론회는 한세억 동아대학교 교수의 ‘부산문화, 어떻게 가꿀 것인가?’에 대한 주제 발표 후 행정문화위원회 신숙희 위원장의 진행으로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주제 발표를 맡은 한세억 교수는 창조도시는 지역리더 지역공동체 지역민 지역제도들이 가진 창조성이 발현되어 지역역량을 창출하는 도시이며 이는, 중장기적으로 시행착오를 통해 지역이 지향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성과가 드러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문화예술 역량 가꾸기 전략으로 ‘부산의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9가지 실천과제’를 제안했다.

종합토론에는 김경화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이사, 최학림 부산일보 논설위원, 하경희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장, 이병석 부산시 문화예술과장 등이 나와 열띤 토론을 벌였다.

먼저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김경화 이사는 창조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한 문화전략으로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인식과 배려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부산으로 관광 오는 외국인들에게 부산만이 소유한 전통문화의 독창적인 볼거리와 즐길거리에 매료될 수 있도록 준비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부산일보 최학림 논설위원은 부산의 창조도시 전략과 관련해 4가지 관점으로 문제 제기했다. 첫째 시민의 창의성을 살릴 것과, 둘째 공간을 새롭게 탄생시킬 것과, 셋째 부산역사와 부산성에 대한 천착과 활용, 넷째 문화예술 활동을 활성화 시켜 문화복지와 문화민주주의를 구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산문화재단 하경희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장은 부산을 창조적 문화도시로 만드는데  문화예술교육은 중요한 사업임을 강조하고 부산문화재단에서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덧붙였다.

부산시 이병석 문화예술과장은 부산시는 문하 예술공연을 위한 기반시설의 지속적 확충뿐만 아니라 문화를 통한 ‘도심재생’을 목표로 문화 예술의 창작주체인 예술가들과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만드는 창작자들이 우수하고 뛰어난 역량을 펼쳐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임을 강조했다.

작성자
이귀영
작성일자
2012-09-07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