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성공을 위한 내 영어점수는 몇 점~?
- 내용
-
취업 준비생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추운 겨울에 몸 상하지 않고 다가올 취업 시즌을 향해 꾸준히 준비하고 계신가요?
많은 취업 준비생 분들이 방학, 또는 취업 비수기인 틈을 타 인턴쉽, 자격증, 어학능력 향상 등의 많은 준비들을 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어학능력, 특히 영어 실력 향상에 박차를 가하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영어 성적을 취업을 위한 기본 요건으로 내걸고 있습니다. 그래서 ‘영어’는 취업시장에서 결코 빠지지 않는 중요한 키워드인데요, 그렇다면 올해 취업시장이 요구하는 영어 실력이 어느 수준일까요?
그래서 이번엔 올해 취업시장에서 각 기업들이 발표한 영어 점수 기준을 알아봤습니다.
올해 주요 대기업들은 신입직 채용 시 토익이나 토플 등 서류전형에서 어학점수 제한을 없애고 회화 능력 테스트 등 영어면접을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국내 주요 대기업 320개사를 대상으로 신입직 채용 과정 현황을 조사한 결과, 설문에 참여한 기업 중 올해 신입직 입사지원 시 토익이나 토플 등 어학점수 제한을 두고 있다는 기업은 38.1%(122개사)로 10개사 중 4개사에 불과했습니다.
다른 기업형태별로는 △중소기업(501개사)의 경우는 입사지원 시 어학점수 제한을 두고 있는 기업들이 26.3%였으며, △외국계기업(58개사)도 34.5%로 올해 입사 서류전형에 어학점수 제한을 두고 있는 기업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공기업(53개사)은 64.2%로 입사지원 시 어학점수 제한을 두고 있는 곳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기업을 노리시는 분들은 꼭 어학 점수를 획득하셔야 할 듯하네요.
기업별 토익 커트라인 공기업 730점 이상 대기업 717점 이상 외국기업 712점 이상 중소기업 712점 이상 요구하는 점수에 관해 알아보니, 대기업에 지원 가능한 평균 어학점수는 토익기준 평균 717점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 외국계기업과 중소기업은 각각 712점 이상이면 입사지원이 가능합니다. 공기업은 730점 이상으로 타 기업들에 비해 가장 높게 집계되었네요.
업종별 토익 커트라인 건설 697점 이상 금융 725점 이상 기계철강 710점 이상 기타 서비스 745점 이상 석유화학 706점 이상 섬유의류 720점 이상 식음료.외식 730점 이상 항공운수업 744점 이상 유통무역 730점 이상 자동차 712점 이상 전기전자 720점 이상 제조업 708점 이상 조선중공업 690점 이상 IT정보통신 680점 이상 주요 대기업들의 업종별로는 △조선?중공업(60.0%) △건설업(59.0%) △기타 서비스업(54.5%) △전기/전자업(52.6%) △기계·철강업(52.6%) 등이 입사 지원 시 어학점수 제한을 두고 있는 기업이 많았습니다. 반면, △식음료·외식업(13.3%) △금융업(21.8%) △IT정보통신(23.1%) 등 업종은 타 업종에 비해 어학점수 제한을 두는 곳이 적었습니다.
업종별 토익 커트라인으로는 △기타 서비스업종이 745점 △항공·운수업이 744점으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식음료·외식업 730점 △유통·무역업 730점 △금융업 725점 등의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대기업 중 10개사 중 5개사 정도는 올해 신입직 채용 시 영어 면접을 시행할 것이라 답했습니다. 기존의 시험 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영어 구사 능력이 어느 정도가 되는지 평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설문에 참여한 기업 중 27.8%는 신입직 채용 시 직무상관 없이 전체 지원자를 대상으로 영어면접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23.1%는 직무별로 부분 시행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대기업 10개사 중 2곳은 오픽이나 토익스피킹 테스트 같은 영어말하기 어학점수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국내가 아닌 국제적 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는 인재를 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시험 점수가 아닌, 영어 실력을 갖춘 인재를 찾는 듯 합니다. 영어시험 점수에 몰두하기 보다는 실질적인 영어 회화 능력에 힘을 쏟아야할 때인 것 같습니다.
- 작성자
- 조현경
- 작성일자
- 2011-02-07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