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 입지 선정, 해답은 인천공항에!
동남권 신공항 해법
- 내용
부산의 당면 관심사는 신공항 입지 선정문제. 부산은 '가덕도'를 내세우고 있으나, 경남 일부와 대구·경북의 '밀양' 주장도 있다. 허남식 부산시장의 '가덕도'론은 뚜렷한 명분·논리에 바탕한다. '국가적 이익'과 '공항기능 우선'을 강조하는 것이다. 가덕도-밀양 대결 속 신공항 무용론을 경계하며 정치적 결정 우려도 대비한다. 당연히 유치활동의 대상은 '중앙 우선'이다.
허남식 부산시장은 '신동아' '월간 중앙' 신년호와 인터뷰를 갖고 동남권신공항의 가덕도 우월성을 강조했다.○…허남식 부산시장은 '신동아', '월간 중앙' 같은 유수 월간지 신년호와 '동남권 신공항' 인터뷰를 가졌다. '신동아'는 '허남식 3선 부산시장의 긴급제언'에, '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 인천공항에 해답 있다!'란 큰 제목을 달았다. 신공항 건설과 국가적 이익의 관계, 가덕도의 입지적 우월성을 설명하며, 객관적 해결방법으로 '전문가의 공개적 토론'을 제시했다.
'월간 중앙'의 인터뷰 큰 제목은 "인천도 바다/부산도 바다/대세는 '해상공항'." 주민반발·안전성·경제성을 생각하면 글로벌 허브는 당연히 가덕도라는 것이다. 정치적 선동이나 여론몰이보단 논리적 대응이 맞다는 확신이다.
○…허남식 부산시장은 지난 연말 동남권 신공항과 울산발전 토론회(울산)에 참석했다. 허 시장은 철저한 경제논리를 설파했다. "가덕도 신공항은 울산-부산-경남 창원·거제를 잇는 동남권 산업벨트가 함께 세계무대로 띠는 발판일 것"이라는 논리다. 울산발전을 위해 어느 쪽이 더 좋은가? 대답은 분명 가덕도라는 주장이다.
허남식 부산시장의 '눈부신' 활동과 대구권의 '전략 없는' 접근을 걱정한 대구지역 언론보도가 있다. '신공항, 허남식·김범일 대조적 행보'란 제목. "서울에서 본 부산과 대구의 신공항 유치전략은 그야말로 하늘과 땅 차이", "부산시장은 부산출신이거나 부산 근무 경력 있는 중앙언론인과 오찬·만찬 가리지 않고 만난 것이 몇 번…", 허 시장은 일찍이 중앙을 대상으로 '가덕도 당위론'을 설파해 온 반면, 대구시장은 "주민서명만 있지 전략은 없다"는 지적이다.
- 작성자
- 박재관
- 작성일자
- 2011-01-03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456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