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51.7% "첫 직장이 직장 운 좌우한다"
직장 운 기준, 연봉 > 직장분위기 > 복지 순 … 처우 개선 때 운 좋다 느껴
- 내용
취업에 성공한 구직자 과반수 이상이 첫 직장이 자신의 직장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 첫 직장 선택 시 신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직장생활에서 직장인이 느끼는 자신의 '운'은 어떨까.
직장인은 연봉, 직장분위기, 복지 등으로 직장 운을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금, 복지 등 처우가 좋아질 때 운이 좋은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와 이코노미플러스가 취업, 자격증 시험, 승진 등에서 직장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자신의 '운(운수)'에 대해 직장인 805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직장인 2명 중 1명 수준인 51.7%는 '첫 직장'에 따라 평생 직장 운이 좌우된다고 답했다. 이런 응답은 여성(55.4%)이 남성(47.8%) 직장인보다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20대(60.5%)가 30대(45.6%)나 40대(41.0%)보다 높았다.
이는 '직장 운'이 좋은지 나쁜지를 가르는 중요한 기준으로 '연봉'을 꼽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 첫 직장에서의 연봉 초임은 이후 연봉협상이나 다른 기업으로 이직할 때에도 자신의 몸값을 좌우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 직장 운이 좋은지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기준을 조사한 결과 '연봉'이라고 답한 직장인이 32.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직장분위기'(인간관계 25.6%)나 '직원에 대한 처우 및 복지'(24.5%)로 직장 운이 좋은지의 정도를 생각한다는 응답자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업무가 본인에게 잘 맞는지의 정도'는 10.1%로 상대적으로 낮아 '직장 운'을 판단할 때, 처우나 근무여건이 업무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렇다면 직장인은 언제 '직장 운'이 좋다고 느끼는지 질문해 봤다.
직장인 10명 중 3명 이상(34.4%)은 회사에서 임금이나 복지 등 처우가 개선될 때 운이 좋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업무가 적성에 맞을 때'(21.9%)나 '회사분위기·문화가 자신과 잘 맞을 때'(15.0%) 직장 운이 좋다고 느낀다고 답했다.
반면 '회사사정이 악화되거나'(25.7%) '상사에게 부당하게 질책 받을 때'(18.6%)는 직장 운이 나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운이 나쁠 때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이직이나 전업을 고려한다'는 직장인이 45.6%로 5명 중 2명 이상에 달해, 직장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직장 운'이 이직을 고려하는 또 하나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풀이됐다.
- 작성자
- <자료제공=잡코리아>
- 작성일자
- 2010-05-12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1423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