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안심할 수 있는 '안전도시 부산' 구현 총력
제9대 부산시의회 전반기 결산-해양도시안전위원회
- 내용
지난 2022년 7월 출범한 제9대 부산광역시의회가 반환점을 돌았다. 7월 1일 제322회 임시회에서 남은 임기를 이끌어갈 후반기 의장단과 상임위원회가 출범했다. 제9대 부산시의회의 2년의 성과를 상임위원회 활동을 통해 돌아본다.
부산광역시의회 해양도시안전위원회는 명칭 그대로 `해양' `도시계획' `안전' 세 가지 분야를 담당하는 상임위원회다. 부산시 시민안전실, 도시공간계획국, 푸른도시국, 해양농수산국, 소방재난본부, 농업기술센터, 건설본부, 부산시설공단을 소관하며 도시 계획·재난 관리·안전 분야 입법 활동을 한다. 해양도시안전위원회는 지난 2년 간 `시민이 안전하고 살고 싶은 부산' 만들기에 전념했다. 조례안 72건, 동의안 24건 등을 심사하고, 의원발의 조례안 95건, 시정질문 12건, 5분 자유발언 69건, 서면 질문 185건 등 내실있는 성과를 거뒀다.
△해양도시안전위원회는 `안전하고 살고 싶은 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한 의정활동에 전념했다(사진은 지난 4월 22일 금정구 두구동 부산영락공원을 방문한 해양도시안전위원회 위원들 모습).특히 안전 분야 입법이 활발했다. 2022년 10월 `부산시 저소득층 화재 피해 주민 지원에 관한 조례'를 개정해 화재 피해 지원 대상을 확대했다. 주최자가 없는 다중운집 행사에서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 관리를 도모하기 위한 `부산시 다중운집 행사 안전관리 조례'도 마련했다. 지난해 6월에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환경친화적 자동차 화재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부산시 환경친화적 자동차 전용 주차구역의 화재 예방 및 안전시설 지원에 관한 조례'를 만들기도 했다.
해양도시안전위원회는 원전 안전 문제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해 3월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전 수명연장 추진과 건식 저장시설 영구화 우려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원전 수명연장 일방 추진 및 건식 저장시설 영구화 반대 촉구 결의안'을 채택해 정부 등에 전달했다. 지난해 5월에는 일본 정부의 일방적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 방류를 강력히 규탄하는 결의안을 통해 목소리를 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자연 재난 대응 방안 마련과 소방시설의 사각지대 제도 개선에도 적극 나섰다.
해양도시안전위원회는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기 위해 현장과 전문가 의견에 귀를 기울였다. 모두 20회의 현장방문을 실시하고 `만덕-센텀 대심도 공사 현장' 등 43곳을 찾아 현안을 점검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부산시 해안지역 초고층개발과 도시안전' `원전해체기술 및 현황' 등을 주제로 의정자문위원회를 열어 각 분야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고 의정활동에 반영하려 노력했다.
위원회 관계자는 "안전한 부산 만들기를 최우선 과제로 시민과 함께 보다 적극적인 의정활동을 추진하고, 소속 위원님들과 함께 활발한 의정활동을 펼칠 것"이라고 약속했다.
- 작성자
- 조현경
- 작성일자
- 2024-07-05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202412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