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202502호 전체기사보기

레슬링의 도시 부산… 2025년 그 명성 다시 한번

부산선수단 파이팅! ② 부산시청 레슬링팀

내용

부산은 레슬링의 도시로 명성이 높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레슬링 자유형 62㎏급에서 부산 출신의 양정모 선수가 광복 이후 대한민국 최초로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걸면서 레슬링 성지가 됐다. 사직아시아드주경기장 서쪽에 그의 이름을 딴 ‘양정모금메달획득기념종합실내훈련장’이 설립되기도 했다. 


‘레슬링 도시 부산’의 명성을 이어가기 위해 지난 1987년 6월 부산시청 레슬링팀이 창단했다. 정윤옥 감독과 3명의 선수로 출발한 부산시청 레슬링팀은 활발한 활동으로 전국대회는 물론, 세계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내며 부산을 레슬링의 성지로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부산시청 레슬링팀은 창단 이래 수많은 기록과 국가대표를 배출했다. 특히 지난해 경남에서 열린 ‘2024 전국체전’에서는 사상 최고 성적을 냈다. 금메달 5개, 은메달 6개, 동메달 9개 등 모두 20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부산이 종합 6위, 광역시 1위를 차지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14-1
△2024년 전국체전에서 사상 최고 성적을 낸 ‘부산시청 레슬링팀’은 2025년 부산전국체전에서도 한 단계 더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 매일 같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왼쪽부터 임도훈, 조종오, 성준 선수, 손영태 감독, 최종원, 김종운, 김화중 선수).


부산 연제구 사직동 아시아드주경기장 뒤편, ‘양정모금메달획득기념종합실내훈련장’ 2층에 부산시청 레슬링팀 훈련장이 있다. 지난 1월 17일 찾은 훈련장은 손영태 감독과 선수들이 구슬땀을 흘리고 있었다. 레슬링복을 입은 선수들이 낙법, 업어치기, 안아던지기 등 공방을 주고받고 있었다. 선수들이 바닥을 구를 때마다 ‘쾅 쾅’ 소리가 체육관을 쩌렁쩌렁 울렸다. 


연습장 한쪽 벽에는 “부산레슬링의 명성! 다시 이어가자”는 현수막이 붙어있다. 2025년 부산전국체전에 임하는 부산시청 레슬링팀의 각오를 나타내듯. 선수들의 눈빛은 진지하고 강인했다. 


국가대표 출신 손영태 감독이 이끄는 부산시청 레슬링팀은 모두 7명의 선수가 뛰고 있다. 그레코로만형에 김종운, 김화중, 성준, 임도훈, 최종원 선수가 출전하고, 자유형에 안재용, 조종오 선수가 부산시청 유니폼을 입고 있다. 

14-list
부산시청 레슬링팀은 2024년 전국체전의 여세를 몰아 2025년 부산전국체전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내 다시 한번 부산을 레슬링의 도시로 만든다는 각오다. 이를 위해 손 감독과 7명의 선수들은 매일 같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손영태 감독은 레슬링을 ‘모든 종목의 기본이 되는 운동’이면서 상대를 제압하는 최고의 맨몸 격투기라고 말했다. 


“상대를 다치지 않고 제압해야 하는 경찰이나 경호원들에게는 제격이죠. 단순히 힘만으로 승부를 가리는 것이 아닙니다. 체력, 기술, 전술을 모두 아우르는 스포츠입니다. 각각의 움직임은 마치 춤처럼 자연스럽습니다. 맨몸으로 서로 부딪히면 상대 선수와의 끈끈한 정도 생깁니다”라고 레슬링의 매력을 전한다. 그러면서 “2025년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에서도 멋진 활약을 보여드릴 것”이라며 시민의 많은 관심과 응원을 당부했다. 


작성자
조현경
작성일자
2025-02-04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202502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