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수출기업 긴급 운전자금 1천억원 지원
관세 피해 기업 1곳당 최대 9억원 저금리 대출
- 내용
■비상 수출대책 2.0 추진 부산시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 수출기업 밀착 지원에 나섰다. 부산시는 지난 4월 1일 미국 트럼프 정부 상호관세 시행에 대비한 ‘비상 수출대책 2.0’을 발표했다. 부산 수출기업 97%를 차지하는 중소기업들이 급변하는 관세정책 등 통상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작지만 강한 기업으로 경쟁력을 잃지 않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적극 대응에 나선 것이다.
부산시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 수출기업 밀착 지원에 나섰다(사진은 지난 4월 1일 부산 수출중소기업 현장 간담회).
부산시 ‘비상 수출대책 2.0’은 △관세 피해 긴급 대응 △무역금융 지원 확대 △물류비 지원 확대 △수출 신시장 개척 지원 △위기 대응체계 구축 등이 핵심이다.
관세 피해 긴급 대응은 당장 닥친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에 따라 피해가 발생한 중소기업에 1곳당 대출한도 최대 8억원(향토기업은 9억원)의 긴급 운전자금을 총 1천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향후 관세 피해가 우려되는 기업에 대해서도 지방세 납부 기한 연장, 징수 유예, 체납처분 유예, 세무조사 유예 등 지원대책을 시행한다.
무역금융 지원 확대는 연간 수출 실적 3천만 달러 이하 중소기업의 수출보험료 지원을 5천여개 기업으로 확대해 수출위험 부담을 완화해준다.
기업 물류 애로 해소를 위해서는 해외물류비 지원 규모를 늘리고, 미국 현지 협력 공동물류센터를 기존 3곳(LA·시애틀·애틀란타)에서 2곳(LA 롱비치, 샌디에이고)을 추가해 5곳으로 확대한다.
수출 신시장 개척을 위해 코트라 선정 해외 진출 유망 6개국 등에 무역사절단 을 파견하고, 해외규격 인증 취득과 지적재산권 출원에 소요되는 비용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부산시는 당면한 통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부산경제진흥원, 코트라,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보험공사, 부산상공회의소 등 모든 수출 관련 기관들이 협업하는 위기대응체계를 가동한다. 특히 관세사 등으로 구성된 ‘관세 대응 119’ 원스톱 상담창구를 설치·운영해 기업의 상황에 맞는 전문 컨설팅을 제공한다.
부산시는 ‘비상 수출대책 2.0’ 시행을 앞두고 지역 중소 수출기업을 직접 찾아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맞춤형 지원을 약속했다.
통상위기 극복 시민대토론회.한편, 부산FTA통상진흥센터에 따르면 부산 기업은 대미 수출 비중이 18.5%로 가장 높다. 철강 등 금속업계의 경우 미국의 추가 관세가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수출경쟁력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업계의 경우 완성차 업계가 미국 현지로 옮길 가능성이 있어 큰 타격이 예상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국가적 경제 안보가 위협받는 현재의 통상 위기 속에서 부산 기업을 지켜내기 위해 비상 수출대책 2.0을 발 빠르게 마련해 추진키로 했다”며 “앞으로도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원을 적시적기에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작성자
- 구동우
- 작성일자
- 2025-05-08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202505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