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아픈 역사가 서려 있는 가덕도 대항항 포진지 인공동굴

내용

1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것들을 생각했다. 바다도 변하고 하늘도 변한다. 산도 변하고 사람의 마음도 변하지만, 이곳의 분위기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 같다. 외지인이 찾아와 북적이더라도 이 항구가 가지는 분위기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그대로일 것이라고. 오랜만에 가덕도를 찾았다. 가덕도는 섬에서 더덕이 많이 난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부산에선 유일하게 사람이 사는 유인도다. 바다로 내려왔다.



2
3
 


대항선착장 인근 길가에 주차를 하고 길을 나섰다. 이곳은 주차료나 입장료는 없기 때문에 가볍게 들리기 좋은 곳이다. 물론 대항항포진지 동굴 점등 시간은 오전 9시부터 밤 8시까지 정해져 있다. 동굴이다 보니 조명 시설이 없다면 안으로 들어가기 위험할 수 있으니 시간에 맞춰 가는 걸 추천한다. 



4
5
 


대항항 포진지는 총 다섯 곳의 동굴이 있으며, 포진지 체험존과 더불어 바닷속 탐험존 등 두 곳의 체험존이 있다. 다 구경한 뒤 마지막 소원동굴을 들린 뒤 해안산책로를 따라 타박타박 돌아오면 끝나는 코스. 해안산책로를 따라가다 보면 첫 번째 동굴이 나오는데 이 동굴이 이곳에 생긴 이유는 일제 강점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6
7
 


대항동 일대는 러일전쟁(1904년)으로부터 태평양전쟁에 이르기까지 일본군이 무려 41년간 군사 요새로 구축하고 주둔한 곳이었다. 일본군은 태평양전쟁 말기에 대항항 해안 절벽에 진해만 방어를 위한 동굴요새지진을 구축하고, 야포와 중화기를 배치하여 전쟁을 준비했다.



8
9
 

일제의 군사시설이었던 동굴요새는 강제 동원된 조선인 징용자들의 희생이 깔려 있는 곳이다. 우리의 아픈 역사의 흔적! 가덕도 대항 인공동굴은 일반인에게 공개된 동굴 외에도 여러 곳에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이 모든 곳을 강제 노역으로 만들었다고 하니 새삼 가슴 아픈 역사가 눈에 들어온다. 동굴은 꽤 시원하다. 쨍한 해가 머리 위에 떠 있어 땀이 났는데 그 땀마저도 시원하게 날아갈 정도로 시원했다.


10
 

한가로운 오후, 가덕도로 드라이브 갔다면 여기 가덕도대항인공동굴도 방문해 보시길!

작성자
김혜민
작성일자
2024-05-18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