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보물 우물 명’ 딴 냉정역명 유래
- 내용
 
 ▲ 도시철도 2호선 냉정역 5번 출구모습- 부산도시철도 2호선은 냉정역명은 유래가 신라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리고 우리 할머니 세대들에게는 특별한 이름으로 기억을 합니다. 옛날이나 현대나 모두가 산기슭아래 아니면 강가에서 집을 살고 있습니다. 원인은 사람이 먹고 살아가는 음식 중 가장 큰 것은 사람의 목숨을 연장시키는 물이죠, 물이 없으면 곡식이 있어도 삶아서 먹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 냉정샘물이 깨끗하게 내려오고 있네요.- 냉정역명에도 유래가 역시 마시는 물이 주변 엄광산에서 흘러내려오는 길목에 아주 물 맛좋기로 당시에도 소문이 난 찬물 샘이 있었다고 하여서 오늘날까지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도시철도2호선을 건설하면서 이곳 냉정역명을 ‘냉정샘‘물의 이름을 따서 냉정역이라고 지었다, 라고 추정을 하여봅니다. 
 ▲ 저기 보이는 산이 엄광산입니다.- 냉정은 가야에서 주례로 넘어오는 엄광산 산등성이 아래 자리 잡고 있는 자연 샘입니다. 예로부터 냉정고개를 왕래하는 상인들이 당시 5일장인 ‘부산장’, ‘동래장’, ‘하단장’, ‘구포장’, ‘김해장’ 등으로 보부상들이 장에 내다 팔 농산물이나 수산물을 이고지고 이곳 고개 마루를 넘나들면서 마시던 물이며, 그들로부터 입소문을 타서 찬물의 맛이 가장 좋았다, 라고 전해오고 있습니다. 
 
 ▲ 주례2동 마을보물인 냉정 샘의 전경- 이 샘물은 주례2동에서 물맛이 좋아서 ‘마을보물’11호라고 이름을 지어 간판을 세웠네요. 그러나 오늘날 상수도 발달로 이물은 식수로는 부적합하고 마을 공동빨래터로 이용을 하고 있습니다. 
 ▲ 주변 할머니 한분이 빨래를 하는 모습- 이야기리포터가 이곳을 찾아간 날은 바람이 제법불고 잔뜩 흐린 날씨에도 불구하고 주변 할머니 한분이 간단한 빨랫감을 가지고 나와서 장화를 신고 흐르는 물에 들어가서 빨래를 하고 있어요. 상상을 해보자면 그 옛날에 이곳 냉정샘은 자연수로서 물맛 좋다고 나그네들의 쉼터이었을 것으로 우리 부산의 선조님들께서 큰 생명수로서 애용하였을 것으로 추정해봅니다. 
 ▲ 할머니의 빨래가 경계에서 말려지고 있네요.- 구름이 잔뜩 끼었지만 깨끗하게 빨아서 샘터주변 경계울타리에 널어놓은 빨랫감은 시원한 바람이 불어서 그래도 잘 말려지고 있습니다. 할머니의 소원이 이루어지는 하루가 되었으면 하는 간절한 소망을 기도하였습니다. 
- 작성자
- 황복원
- 작성일자
- 2024-05-04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