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수영성마을박물관 ‘길쌈필수품’ 지혜롭다

투명하지만 옛 조상들의 ‘생활필수품’ 지혜로워!

내용

 조선시대 동래부(현 수영구) 수영성 부근에서 살아온 우리 선조들의 생활에 필요한 물품과 길쌈할 때 필수품을 쓰다가 돌아가신 분들의 유물을 마을 사람이 모아서 소소하고 아름답게 꾸민 수영성 마을박물관이 있다. 수영사적공원남문과 팔도시장 사이 망미동으로 가는 삼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IMG_2708

 한복 바느질 할 때 사용하는 인두.


예전 어머니들이 바느질할 때 쓰던 도구 가운데 화롯불에 묻어 놓고 달구어 가며 천의 구김살을 눌러 펴거나 솔기를 꺾어 누르는 데 쓰던 인두의 형태는 끝이 뾰족한 것모진 것유선형인 것 등이 있었다인두머리가 뾰족한 것은 저고리의 깃·섶코·버선코·배래·도련 등의 정교한 곡선을 만드는 데 썼다인두와 함께 반드시 필요한 것은 인두판이다.



IMG_2710
 농사일에 사용하는 원형으로 만든 체 


가루를 곱게 치거나 액체를 거르는 데 쓰는 도구나무를 얇게 켜서 겹으로 끼운 두개의 바퀴 사이에 말총이나 헝겊 또는 나일론천이나 철사 등으로 바닥을 메운 도구이다체는 쳇바퀴·아들바퀴·쳇불로 이루어진다쳇바퀴는 체의 몸이 되는 부분으로 얇게 켠 나무를 둥글게 말고 한쪽에서 솔뿌리 또는 실로 꿰매어 원통형으로 만든다아들바퀴는 쳇바퀴 안쪽으로 들어가는 바퀴이며 쳇불은 쳇바퀴에 매어 액체나 가루를 걸러내는 그물이다또한체는 쳇불 구멍의 크기에 따라 어레미·도드미·중거리·가루체·고운체 등으로 나뉜다.



IMG_2715
 떡본 (일명 떡살)은 예단 보낼 때 사용한다. 


떡본 이라고 한다고려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떡살은 누르는 면에 음각 혹은 양각의 문양이 있어서 절편에 찍으면 문양이 아름답다사용하는 방법은 적절한 크기로 잘라낸 떡에 물기를 묻혀서 떡살로 도장을 찍듯이 누르면 된다떡살 문양은 주로 부귀와 수복을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는 길상무늬를 비롯하여 장수와 해로를 뜻하는 십장생봉황 등 다양하다자식을 출가시킬 때 사돈댁으로 예단을 보낼 때 주로 사용하는 떡살이라고 한다.



IMG_2718
 삼베에 풀을 먹이는 삼 솔 


손잡이가 되는 부분은 부들이나 얇게 손질한 대쪽을 이용해 솔 부분만을 제외하고 전체를 돌려 감아 단단하게 감쌌다모심이 두꺼워 싸리비처럼 보인다.



IMG_2722
 쌈 가닥을 가르는 삼 톱 


대마껍질을 여러 갈래로 찢거나 찢어놓은 삼 가닥을 쉽게 이을 수 있도록 대마껍질 밑 부분을 벗겨내는 도구이다한 집 안에도 모양은 비슷하나 크기가 다른 여러 개의 삼 톱을 가지고 있기도 한다삼 톱은 날과 손잡이로 구성된다날은 대장간에서 만드는데쇠를 꺽쇠모양으로 만들어 날을 세운다다음에는 나무로 된 손잡이를 준비하였다가 삼톱 날의 양끝을 불로 달구어 손잡이에 박아서 고정시킨다대마 거친 껍질을 매끈하게 만드는데 사용한다대마를 쪄서 껍질을 벗긴 후 실을 뽑기 위한 대마 껍질의 거친 부분을 매끈하게 벗기는 도구라고 한다.



IMG_2734
▲ 수영성 마을박물관

작성자
황복원
작성일자
2022-09-07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