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금어동천을 품은 범어사 옛길

내용

  

부산 시민들이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범어사 오르는 길은 참 다양하다. 등산로로 따라 오르는 방법, 팔송에서 90번 버스를 이용하는 법, 범어사 문화체험누리길 등 여러가지다. 하지만 팔송 범어정수장에서 범어사까지 오르는 길 중 옛적 스님들이 이용하는 길을 아는 시민들은 많지 않다. 범어사 옛길은 범어사가 창건된 신라 시대 이래 수많은 학승들과 승려들, 그곳을 드나든 신도들, 그리고 주변 민초들이 실생활 속에서 이용하던 길이다. 천년이란 세월을 딛고 고스란히 남아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홀로 뚜벅이로 다녀왔다. 이 길에는 식나무 군락지, 지장암, 금어동천 바위, 영세불망비 5기 등 온갖 숨겨진 보석이 많다. 또한 울창한 소나무와 범어사 아랫마을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덤도 얻는다.


  범어사 풍경 : 울창한 소나부와 바위 사진

팔송사거리에서 옛날 찐빵 왕만두가게 쪽으로 오르다 보면 1932년 준공된 범어사 정수장이 나타난다. 범어정수장은 일제강점기때 법기수원지 물을 정수하여 부산 시민들에게 수돗물을 공급하였던 곳이다. 지금은 폐쇄되었으나 옛 시간을 말해주는 참 멋지게 자란 히말라야시다 나무들이 반겨준다. 범어사 옛길은 범어정수장을 지나 경동 아파트 옆 숲길을 거쳐 범어로를 건너면 산림욕장 안내판 오솔길로 들어서면 된다. 계명봉과 양산 사송리로 나뉘는 갈림길에서 범어사 방향으로 300m 오르면 식나무 군락지가 열병지어 서 있어 운치가 있다. 지장암을 구경한 후 오솔길을 오르면 금어동천(신선이 사는 절경)’이라 새겨진 큼직한 바위를 만난다. 옛적 이 바위에 올라 아래를 내려다보면 경치가 아주 아름다워 지워진 이름이나 현재는 숲에 가려져 아쉬움이 남는다. 바위 윗면에 동래 부사 정현덕·윤필은 등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조금 더 가면 비석골(정현덕, 홍우길, 조엄, 정헌교, 장호진)에는 5기의 영세불망비가 서 있다. 사찰 구제와 보시로 은덕을 베푼 지방관의 공로를 새긴 다섯 기의 비석이다. 특히 순상국조공엄혁거사폐영세불망단이라는 단비는 동래부사 조엄이 절의 폐단을 제거하여 준 것에 대한 은공을 잊지 못한다는 뜻이 새겨져 있다. 조엄은 통신사로 갔다가 고구마를 들여와 제주도와 동래에서 재배하게 바로 그 사람이다. 여기서 조금만 걸어가면 범어사로 곳곳에 숨겨진 암자와 범어 3기와 금정팔경을 만날 수 있다.


범어사 전경 사진
범어사 비석 사진
비석골(정현덕, 홍우길, 조엄, 정헌교, 장호진)에는 5기의 영세불망비 사진
 

범어사 옛길은 자연과 역사 및 문화 탐방로로 비석골, 지장암, 금어동천, 식나무 군락지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범어사를 오르는 방법중 범어사 옛길을 오르면 옛길의 운치를 느낄 수 있고 금어동천을 만나는 행운도 얻을 수 있다. 범어사 옛길로 뚜벅이 오세요. 환영합니다.

 


작성자
이정례
작성일자
2019-09-07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