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이 땅에 찬란한 '민주의 꽃'을 피울 그날까지

- 민주공원 유네스코 특별전

내용

시민 스스로 공동체 유지와 질서를 지켰던 유례없이 높은 시민의식을 높이 평가한다.”

(로슬린 러셀 박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 위원장)

    

5·18민주화 운동 19805월 광주시민들의 불의한 신군부 독재에 맞서 저항한 민주화 투쟁이다. 2011년 이 기록물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됨으로 누구도 은폐하거나 조작할 수 없는 세계적 위상을 갖게 되었다. 민주·인권·평화운동의 등불로 세계 곳곳의 공동유산이 되고 있다.

 

20161025_152319_resized.jpg

 

부산 민주공원에 1015일부터 124일까지 부마민주항쟁아카이브&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순회전시전이 열리고 있다. 특이한 것은 20167월에 진행된 오월수레_오늘을 걷는다” 6대의 서로 다른 수레를 활용해 오월의 정신 깃든 길을 걸으며 직접 퍼포먼스를 보여준 오월수레가 전시되었다.
 

20161025_152847_resized.jpg 

 

이는 광주역 광장에서 실려 놨던 주검으로 대인시장과 양동시장에서 어머님들이 전해주었던 주먹밥으로 확성기를 들고 광주역 광장에서 전해 주었던 주검으로, 녹두서점에서 벌였던 토론의 열기로 관객들과 만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부산시민의 민주정신을 기리고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1999년 만들어진 민주공원은 민주역사의 산 교육장이나 체험문화공간이다. 이곳에 게시된 오월의 기록, 인류의 유산사이를 지나다보면 군부독재가 활개 치던 그때 5월의 함성으로 민주주의를 수호한 숭고한 흔적들에 전시물 앞에 숙연해지기까지 한다.

 

20161025_152739_resized.jpg

 

아리스토텔레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한 개인의 이익을 위해 국가가 유린되고 이용되는 참주정치를 막기 위해서는 개인이 아닌 법이 지배하는 법치주의 합법주의를 토로했다. 콜로세움 경주장에서 경기자, 심판, 장사꾼들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분주하나 제 3 의 눈인 관중이 있어 감시하고 견제하며 비판하듯, 시민들이 책임 있는 의식과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했다. 이처럼 민주주의는 시민사회 속에서 그 힘이 제대로 발현될 수 있는 것이다.

 

20161025_152735_resized.jpg

 

광주시민일동의 이름으로 적힌 1980525<국민들에게 드리는 글>을 마지막으로 인용한다.

자유와 평등이 공존함으로써 인간의 존엄성이 회복되는 민주국가 건설을 위하여 분연히 쓰러져간 수많은 민주영령께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친애하는 국민여러분!...(중략) ... 다시는 독재의 구렁텅이로 빠지지 않고 이 땅에 찬란한 <민주의 >꽃을 피울 그날까지 우리 모두 총궐기합시다.”

 

20161025_152411_resized.jpg

 

 

 

작성자
김광영/이야기 리포터
작성일자
2016-11-14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