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항일독립운동가 ‘박 차정’ 생가 방문하다.

내용

IMG_4653.JPG

부산광역시동래구 명륜로
98번길 129-10(칠산동)에 위치한 항일여성독립동가이신 박 차정의사(이하 의사)를 만나러 동래고등학교주변 생가를 찾아갔다. 의사는 191058일 동래구 칠산동 319번지(지번주소 복천동 417번지)에서 태어났다.

 

IMG_4660.JPG

의사는
1910년 항일독립운동가인 아버지 박 모 씨와 어머니 김 모 씨의 32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 집안의 위로 두 오빠의 영향을 받아 어릴 적부터 자연스럽게 항일 민족의식을 키웠다. 1925년 동래일신여학교에 입학하면서 항일의식과 남녀평등 사상은 고조되어 일신여학교 동맹휴업을 주도한다. 문학에 소질을 가졌기에 일신교지에 항일민족의식을 표출하는 문학작품을 남겼다

 

IMG_4664.JPG 

 

오늘날 생가복원은 1929년부터 국내에서 여러 항일운동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일제에 의해 옥고를 치른다. 1930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항일전투에 직접 참전하는 등 194434세로 순국하기까지 한국여성 독립운동의 거목으로 인정한다. 광복 5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건국훈장 독립상을 수상한다. 의사의 숭고한 넋을 기려 생가를 2005년에 복원한다.

 

IMG_4666.JPG 

 

의사의 생가 안방에 액자에 있는 한자 네 글자가 눈에 들어온다. 간단명료하지만 네 글자 속에는 의사의 전생을 짐작 할 수 있다. 국충가효國忠家孝 즉 국가에 충성하고 집안어른에게 효도하다, 라는 항일독립여성운동가의 나라사랑과 집안어른에게 효도 짧고 굵게 살았다

 

IMG_4670.JPG 

 

의사가 작사 작곡한 것으로 알려진 조선혁명 군사정치 간부학교 교가 중에서 이런 가사를 발견한다. ...조선에서 자란 소년들이여 가슴에 피 용솟음치는 동포여 울어도 소용없는 눈물을 거두고 결의를 굳게 하여 모두 일어서라 한을 지우고 성스러운 싸움으로 필승의 의기가 여기서 뛴다...일본에게 나라 바친 서러움을 그대로 나타나게 한다.

 

IMG_4677.JPG 

 

의사가 남긴 글

개구리소래

천궁天宮에서 내다보는

한 조각 반월半月

고요히 대지 우에 비칠 때

우리 집 뒤에 잇는 논가온데는

뭇 개구리 소래맛처 노래합니다.

 

이 소래 들을 때마다

넷 기억이 마음의 향로에서 흘너넘처서

비애의 눈물이 떨어 짐니다.

미지의 나라로 떠나신 언니

개구리소래 듯기 조화하드니

개구리는 노래하건만

언니는 이 소래 듯지 못하고 어뒤갓을까!

 

IMG_4667.JPG 

 

박의사는 동래일신여학교(현 동래여고)를 졸업하고, 항일운동 근우회 중앙상무위원 등 핵심운동을 하다가 일경에 검거 후 보속으로 출소하여 중국망명을 한다. 중국 남경에서 약산 김원봉과 결혼을 22세 어린나이로 했다. 생가관람은 무료이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작성자
황복원/이야기 리포터
작성일자
2016-09-01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