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의 껍질을 벗겨 말린 ‘곶감’ 효능?
- 내용
우리가 즐겨먹는 감의 이름은 '감', '곶감', '홍시', '반시', '건시' 같은 감이라도 사람의 손길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단감은 오직 단감으로만 이름을 가지고 있다. 생감을 곶감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생감을 깎아야 한다. 깎은 감은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20일 정도 말리면 먹기도 좋고 색도 예쁘다. 20일이 넘으면서 표면에 하얀 가루가 생기게 되면서 곶감으로 변한다. 과정은 사람의 잔손이 많이 가야한다.
생감의 효능은 '피로회복', '고혈압 예방', '감기 예방', '숙취 해소', '다이어트', '이뇨', '항암', '피부미용' 에 좋다. 특히 감은 체내 과다 지방을 분해하는 작용과 몸속에서 지방이 합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다이어트 식품으로 유명한 감식초를 만들어 꾸준히 드시면 많은 도움이 되므로 감의 효능 중 여성들이 많이 좋아하는 과일이다.
감의 칼로리는 100g당 80칼로리서 밥 한공기보다 낮게 함유되어 있고 수분과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다이어트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감 칼로리가 낮다고 많이 드시게 되면 변비를 유발할 수 있으니 이점에 신경을 써야 한다.
그리고 곶감의 효능은 표면에 하얀 가루가 있다. 기침이나 가래에 좋은 효과가 있는 '기관지강화'를 해준다. 또한 하얀 가루에는 남성들의 정액을 생성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해서 '정력 강화'를 해준다. 음주를 하기 전·후에 곶감은 '숙취해소'에 도움을 준다. 또한 가벼운 설사증상이 있으면 곶감을 섭취하여 증세를 완화시켜주는 '설사치유'도 한다.
제일 중요한 것은 곶감은 명절차례상이나 기제사 때 쓰는 과일의 필수음식이다. 조상을 모시는 제사상에는 반드시 곶감이 있어야 한다.
곶감 만드는 법은 늦가을에 잘 익은 단단한 물감을 택하여 껍질을 벗기고 꼭지를 떼어 큰 목판에 펴놓아 비를 맞지 않도록 말린다. 위가 검어지고 물기가 없어지면 뒤집어놓고, 마르면 또 뒤집어 말린다고 해서 잔손이 많이 간다고 했다. 감이 말라서 납작해지면 모양을 잘 만들어 물기 없는 큰 항아리에 넣어서 보관한다.
감은 무게에 비하여 건조 면이 좁으므로 갑자기 말리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너무 건조시키면 과육이 굳어지고 건조가 부족하면 곰팡이가 생기기 쉬우므로 매우 조심해야 한다.
곶감은 그대로 먹기도 하고, 곶감에 호두를 싸서 곶감 쌈을 만들기도 한다. 실백을 박아 한과나 생과일에 곁들여 놓기도 하며, 수정과의 주원료이기도 하다. 옛날 농촌에서는 먹을 것이 없어서 손님접대용으로 혹은 할아버지, 할머니 식구들의 간식용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 작성자
- 황복원/부비 리포터
- 작성일자
- 2013-11-11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