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신분제의 벽을 뚫고 재능을 펼치다

역사 속의 부산을 얼마나 아시나요 ⑤ - 장영실 과학동산

내용

어느새 절기는 입하를 지나고, 6월이 성큼 다가왔다. 따뜻함이 더해가면서 주말, 공휴일에 나들이를 하는 시민들이 늘어만 나고 있다. 시민들은 보통은 익숙한, 혹은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교외로 떠나기를 기대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린 학생인 자녀를 두고 있는 가족의 경우에는 한번쯤은 우리 지역을 나들이를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특히나 요즘 역사 교육의 부실함이 문제로 대두되는 상황에서 어릴 때부터 우리의 뿌리,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해 생각해보고, 그 정신을 마음속에 조금이나마 새겨본다는 것은 의미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보통의 경우 어릴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위인전을 많이 접할 것이다. 특히 그 중에서도 장영실과 같은 이름은 꼭 위인전을 읽지 않더라도, 학교 교육을 통하여 한번쯤은 접하게 되는 인물이다.

그렇다면 시민들은 장영실이 우리 지역의 인물이었다는 것을 알고 있을까? 우리 지역의 ‘장영실 과학 고등학교’라는 교명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는 단순히 조선시대의 위대한 과학자의 이름을 사용한 것뿐일까?

역사 속 우리 지역 출신의 위대한 인물임에도 이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따라서 위인전 속의 장영실의 업적을 살펴보고, 몸으로 경험할 수 있는 ‘장영실 과학동산’을 소개하려 한다.

‘장영실 과학동산’은 동래 복천동 고분군 옆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먼저 복천동 박물관을 통하여 가야시대의 문화를 감상하고, 이후에 조선시대의 과학자 장영실에 대하여 공부를 할 수 있는 야외의 역사수업인 것이다. 그리고 이를 감싸고 있는 것이 이전에 소개하였던 ‘동래읍성’이다. 결국은 역사수업과 동시에 나들이를 할 수 있는 코스인 것이다.

장영실에 관하여『세종실록』15년 9월 을미조에는 그의 아버지는 원나라 소항주(蘇杭州) 사람이며, 어머니는 동래현의 관기(官妓)였다고 서술되어 있다. 한편, 아산장씨(牙山蔣氏) 족보에는 아버지가 고려 말 정3품 전서(典書)의 벼슬을 지낸 장성휘(蔣成暉)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렇듯 장영실은 아버지의 존재가 확실하지는 않으나, 어머니가 동래현의 관기(官妓)였다는 점에서 신분이 미천한 관노(官奴) 출신임을 알 수 있다. (부경역사연구소,『시민을 위한 부산의 역사』, 선인, 2003)

비록 그의 신분은 미천하였을지라도 제련, 축성, 농기구, 무기 등의 수리에 뛰어나서 남다른 과학적 재능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세종에게 발탁되고, 관노(官奴)의 신분을 벗어나 이후에 많은 천문기구를 발명한다.

이 공원에는 장영실이 당시에 발명한 천문기구들의 모형을 전시하고, 소개를 해놓았다. 장영실이 생존했을 당시에는 농업기술이 오늘날과 같이 발달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이 미약한 농업을 뒷받침하는 것이 천문기술이었기에 장영실의 여러 발명들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일이 아닐 수 없었다.

조선시대에는 미천한 신분일 경우에는 아무리 뛰어난 능력이 있더라도 사회적인 진출에 있어 제약을 받았다. 하지만 장영실은 신분제 사회 속에서 자신의 재능을 펼치고, 후대의 역사에 기여하였다. 그리고 이를 가능하게 해준 이가 조선시대 최고의 업적을 지닌 세종이라는 것에서 장영실은 우리 지역의 위상을 높인 인물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를 알아야 한다고 해서 책상에 앉아 공부만 하는 것만을 따분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가족과 함께 생활 속에서 접하는 우리 지역의 역사, 우리나라의 역사는 더 많은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것이라 생각한다. 가까운 휴일 한번쯤 동래를 찾아서 나들이 겸 역사공부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

작성자
이원석/부비 리포터
작성일자
2011-05-30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