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조선 침략 전초기지 김해죽도왜성
- 내용
한국 역사에서 조선시대 일본이 침공한 임진왜란은 매우 참혹한 전쟁의 하나였습니다. 온 국토가 쑥대밭이 됐고 많은 백성이 목숨을 잃거나 포로로 끌려 갔습니다. 나라가 힘이 약하고 국방과 안보에 실패하면 어떤 참담한 시련이 닥치는지 여실히 보여준 쓰라린 경험이었습니다.
![[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3346](/ImagePrint.do?dir=smartEditor&savename=3b68a1a6c0ac4953a4d1f1e65631c2ce&realname=[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3346.jpg&fileext=jpg&filetype=image/jpeg&filesize=393367)
임진왜란 역사 흔적은 아직도 나라 곳곳에 남아서 역사의 반면교사로 여기게 합니다. 부산에도 여러 곳에 임진왜란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김해죽도왜성입니다.
![[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3765](/ImagePrint.do?dir=smartEditor&savename=9053a5af77ac4b979aec5dcd17ae0323&realname=[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3765.jpg&fileext=jpg&filetype=image/jpeg&filesize=414465)
김해죽도왜성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가락산에 있는 것으로, 가락성 또는 죽도성이라고도 합니다. 가락산은 동서로 길게 뻗은 독립된 야산으로, 그 동쪽 끝이 낙동강 서쪽 지류에 인접해 있어 선박을 정박시킬 수 있는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2946](/ImagePrint.do?dir=smartEditor&savename=39e65f53a2eb483f867f826e8d0204eb&realname=[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2946.jpg&fileext=jpg&filetype=image/jpeg&filesize=419309)
이 성은 임진왜란 때 왜장인 니베시마가 쌓은 것으로, 해발 35m의 낮은 구릉지 양쪽에 축조되었습니다. 제일 높은 곳에는 소위 일본성의 양식인 본환(本丸)이 있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석재는 부근에서 구하기가 어려워 먼 곳에서 육로 및 뱃길을 이용하여 운반한 것으로 보입니다.
![[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2576](/ImagePrint.do?dir=smartEditor&savename=f91a86f81cf7411586bf392ef4bbe547&realname=[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2576.jpg&fileext=jpg&filetype=image/jpeg&filesize=432933)
김해죽도왜성은 주변의 구포왜성, 양산왜성과 함께 삼각형을 이루어 김해 북쪽지역에서 내려오는 병력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어의 요충지 역할을 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낙동강 지류를 이용하여 배로 만든 다른 성들과 긴밀한 연락을 도모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였습니다.
![[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2191](/ImagePrint.do?dir=smartEditor&savename=7097bebe85b84d72b9bda33a8812e4c4&realname=[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2191.jpg&fileext=jpg&filetype=image/jpeg&filesize=426275)
이 성은 감동포(甘同浦:구포)성과 함께 성 아래에 선박을 정박시킬 수 있었으며, 면적은 30,000㎡ 정도로서 축성할 때는 왜군이 점령지의 조선백성들을 강제로 동원하여 쌓았는데, 연 4만 여명의 인부가 동원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현재는 약 100m정도의 성벽만 남아있습니다.
![[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1625](/ImagePrint.do?dir=smartEditor&savename=9348b47514bb45f4bbe52ab7a2c9bf78&realname=[크기변환]KakaoTalk_20250525_155801625.jpg&fileext=jpg&filetype=image/jpeg&filesize=309720)
비록 일본인의 이름으로 쌓았으나 강제로 동원된 조상들의 피와 땀으로 만들어진 문화유산이므로 소중히 보존되어야 할 것입니다. 김해죽도왜성은 부산 강서구 죽림동 787번지 일원에 있는데 부산시지정 기념물 제47호로 지장돼 관리하고 있습니다.
- 작성자
- 박정도
- 작성일자
- 2025-08-09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