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부산의 토속 음식을 찾아서...

자갈치 시장에서 맛볼 수 있는 부산의 토속음식 '두투'와 '장어묵'

내용
자갈치 시장에서 맛볼 수 있는 부산의 토속음식 '두투'와 '장어묵'

어릴 적, 어머니를 따라 자갈치 시장에 가면, 시장 한 구석에 있는 좌판으로 나를 데려가셨다. 키 작은 의자와 초라한 탁자가 있는 곳. 그 곳엔 '두투'라 불리는 음식과 '장어묵'이 너저분하게 진열되어 있었다.

장어 묵을 한 입 베어 무니, 물컹하고 비릿한 것이 너무 이상했다. 순식간에 바닥에 뱉어낸다. 이걸 도대체 무슨 맛으로 먹는단 말인가. 장어 묵에 속은 입맛은 슬며시 두투라 불리는 이상한 음식에 호기심이 동한다.

배가 고픈데 이건 좀 괜찮을려나... 입안에 감도는 비릿한 냄새. 아무 맛도 없이 오도독 씹히기만 한다. 도대체 이걸 어른들은 무슨 맛으로 먹을까? 옆에 앉은 중년의 사내들은 소주 한잔 입에 털어넣고 두투와 장어묵을 초장 듬뿍 찍어 입으로 가져간다. 맛있게, 너무나도 맛있게 먹는 그 모습이 신기했다.

내가 두투와 장어묵의 참맛을 알게 된 것은 그로부터 한참 지난 후였다. 대학생이 되어 친구들과 자갈치시장으로 곰장어를 먹으러 갔을 때였다. 그곳에서 10년만에 다시 두투와 장어묵을 만났다. 이게 아직도 팔리고 있는가?

친구 한 놈이 소주 한 잔 입에 털어놓고, 캬-아- 하는 소리를 내며 두투에 초장 듬뿍 찍어 잘도 먹는다. 나도 따라서 소주 한잔 먹고 두투 넣고. 오오... 이럴 수가! 오도독 씹히는 맛이 10년 전의 그 맛과는 천지 차이다.

세상에 이런 맛도 있었구나. 신기한 기분에 장어묵을 초장에 듬뿍 발라 먹어본다. 도토리묵처럼 물렁하게 씹히는 맛이 절로 느껴진다. 그러면서 입안에 들큼하면서도 꼬들꼬들한 맛이 몰려온다.

그날 친구들과 우리는 두투와 장어묵으로만 소주 5병을 비워냈다. 가난한 학생 시절, 무슨 돈이 있어 ‘회’를 먹겠는가. 그저 좌판에서 두투와 장어묵으로 빈약하지만 풍성한 술자리를 가질 수밖에...

사실, 그 자체로는 별로 맛이 없다. 두투는 오도독 씹히는 맛으로 먹고, 장어묵은 초장 맛으로 먹는다고 보면 딱 알맞다. 그러나 이런 음식이어도 두투와 장어묵은 빈약한 서민의 술 안주로는 제격이다. 약간 비린 것이 흠이긴 하지만 소주라는 약주가 있어 그 비린내를 지워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두투와 장어묵에는 무조건 소주가 궁합에 맞다.

부산 자갈치에 가면 수많은 음식들이 산처럼 쌓여 있지만 반드시 먹고 가야 할 음식은 단연코 두투와 장어묵일 것이다(적어도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두투란 상어 내장을 삶아서 만든 것이고, 장어묵은 꼼장어 껍데기와 그 알을 압축하여 만든 음식이다. 둘 다 자갈치 시장에서만 맛볼 수 있는 부산의 토속음식인 것이다. 두투와 장어묵! 절대 놓치지 말기를...

작성자
김대갑/부비 리포터
작성일자
2009-11-10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