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오륙도에도 봄은 왔다

내용

부산의 상징 오륙도. 해운대 바다에서 바라보는 오륙도는 거무튀튀한 삼각형의 볼품없는 섬처럼 보이지만 막상 배를 타고 가까이 가서 본 오륙도의 모습은 무척 싱그럽고 아름다웠다.

지난 일요일 우연히 오륙도 관광을 할 기회가 생겼다. 해운대 미포 선착장에서 1시 50분 발 유람선을 타고 출발하자 갈매기 떼들이 배 주변으로 모여들어 오륙도 관광을 환송해 주었다. 날씨가 화창해서 그런지 승선객들이 생각보다 많았다.

해운대 해수욕장이 멀어지자 대신 동백섬과 누리마루 하우스가 모습을 드러낸다. 그 옆으로 초고층 아파트들의 장대한 모습도 보인다. 그 모습을 보고 옆자리에서 “정말 맨하탄 같네”라며 감탄을 한다.

길게 이어진 광안대교를 지나자 좀 투박하게 보이는 이기대가 모습을 드러낸다.

멀리 산책로를 따라 사람들이 꼬물꼬물 움직이는 모습도 보이고, 봄 낚시를 즐기는 낚시꾼들도 보인다. 이기대의 중간쯤의 기암절벽도 볼만했다.

이기대를 지나자 곧장 오륙도의 다섯번째의 섬인 솔섬이 나온다. 섬 꼭대기에 소나무가 자라고 있어서 솔섬이라고 부르는 모양인데 선장의 안내방송에 의하면 200년쯤 된 소나무인데 지금은 자라지 않는 소나무라고 한다.

솔섬을 지나자 넓적한 수리섬과 송곳섬, 그리고 동굴섬과 등대섬이 차례로 얼굴을 드러낸다. 망망대해에서 만나는 섬이라서 그런지 어쩐지 반갑다. 동굴섬에는 수목이 자라는지 섬 군데군데가 푸릇푸릇 하다. 삭막한 바위섬인 오륙도에도 봄은 온 모양이다.

등대섬에 설치된 흰색의 펜스는 보기에도 어지러울 만큼 위태위태 보인다.

등대섬을 지나자 유람선은 방향을 바꿔 해운대 해수욕장으로 향한다. 섬 주변에서라도 속도를 줄여 오륙도의 모습을 좀더 감상했으면 좋겠는데 정해진 시간 때문인지 유람선은 급하게 오륙도에서 멀어진다. 뒤에다 두고 오는 오륙도의 모습이 사진에서 많이 본 탓인지 눈에 익어 보인다.

창밖으로 가까이 본 바다의 모습은 마치 출렁이는 푸른 융단 같은 느낌이 든다.

그 푸른 물빛만으로도 가슴이 확 트이는 것 같다. 바다위에서 갈매기들이 비상을 즐기다가 먹이를 낚아채는 모습도 보이고, 요트나 수상스키를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도 보인다. 배가 파도를 가르면서 생기는 흰 포말들이 봄날에 무척 상쾌해 보인다.

부산에 살면서도 실제 오륙도를 가까이 볼 기회는 많지 않은 것 같다. 나도 이번에 겨우 두번째로 가 보았는데 앞으로는 자주 가 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삶의 찌꺼기를 떨쳐 버리는데는 그래도 바다 여행이 최고인 것 같다.

마음만 먹으면 이렇게 항시 바다를 볼 수 있고 바다 여행을 할 수 있다는 게 부산사람들에게는 아마 복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작성자
정헌숙/부비 리포터
작성일자
2011-04-12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