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10월의 어느 멋진 토요일…

길 위에서 인문학을 듣다

내용

남구도서관에서 길 위의 인문학행사를 했다.

부산박물관정문 근처에 있는 장애인복지관 강당에서 한 정기 선생님강의를 들었다. 요즘 인문학 열풍이 부는 데 인문학의 뜻부터 말해준다.

강의를 마치고 유엔묘지로 이동하여 전문해설사로부터 유엔묘지에 대한 동영상과 자세한 설명을 들었는데 그동안 우리가 근처에 있는 유엔공원에 대해 얼마나 무지했는지를 새삼 깨달았다.

전투지원국 중에서 우리나라를 가장 많이 방문한 나라는 터키라고 한다. 가장 많은 전사자가 묻힌 나라는 영국, 885명이다. 총 11개국의 2300명이 안장되어 있단다.

유엔묘지 중간을 흐르는 인공시냇물은 17세에 전사한 어느 병사를 추모하기위해 만든 곳이다. 시냇물이 상징하는 것은 삶과 죽음의 경계라고 한다. 

점심도시락을 공기 좋고 경치 좋은 평화공원인근에서 먹고 추리문학관으로 출발한다. 차 안에서 한 정기 선생님은 40여 년 전 초등학교 때 배운 참전 16개국을 외우는 노래도 들려주었다. 

추리문학관에 도착하여 문학관을 둘러보고 김 성종 선생님의 강의를 들었다. 칠순의 노작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이 세운 전문 문학관을 세운 동기와 영화로 두 번이나 나온 최후의 증인에 대해서 열강을 하였다. 김 성종 선생님이 초등학교 때 교실 마루 밑에 있던 빨치산들에 모티브를 얻었다고 한다.

1974년에 최후의 증인이 한국일보 공모전에 당선되어 그 상금으로 결혼자금과 신혼집을 장만하셨다고 한다. 최후의 증인 일본판도 보여주었다.

자리를 옮겨가면서 인문학강의를 듣는 10월의 어느 멋져서 행복한 날이었다.

 

작성자
박영주/부비 리포터
작성일자
2011-10-17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