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학부모시험감독관 체험후기

내용

비오는 날, 화창한 날에는 보지 못했던 수많은 것들을 낯설게 보게 된다. 학생들에게 시험기간은 지금껏 공부한 것들을 답안지에 마킹해가며 한 단계로 나아가는 현장이다. 이 곳에 1일 학부모 시험감독관 되어 학교를 찾았다.

각반에 1명씩 도서실에 모여든 학부모들. 도서관의 책들을 보니 중학교 시절 학교 도서관의 서향과 추억이 잠시 오버랩 된다. 그때 읽었던 김동리의 단편소설 ‘감자’의 장면들도 떠올려진다. 교감선생님의 소개와 함께 아이들의 학교라는 소중한 공간에 자녀들이 공부의 진검승부(?)를 펼치는 시험이라는 숨 가픈 현장에 선생님을 도와 교실로 드디어 입성한다.

예비종이 울리고, 복도에서 기다리다. 본종이 울려 교실로 들어가니 아이들이 한자라도 더 볼세라 책을 쥐고 있다 이내 책상 아래로 내린다. 나를 위해 마련된 작은 의자에 앉아. 아이들의 모습을 살며시 바라본다. 꿈 많고 열정 많고 끼 많은 이 시절, 작은 책상에서 무엇을 생각할까?

답지와 시험지를 배부 받고 눈이 뚫어져라 시험문제와 씨름하는 아이들의 눈동자를 지켜 보는 특별한 순간이다. 손을 드는 학생이 있다. 잽싸게 달려가 답지를 회수하고 새 답지로 교환해 준다. 학부모 감독관의 중요한 역할이다. 아이들이 실수한 답안지를 수거하고 새롭게 답을 마킹하게 눈치껏 움직여줘야 한다.

반 교훈을 보니, ‘아프니까 청춘이다’고 적혀있다. 김남도 교수의 책이름이다. 중학생들의 인생시계는 24시간에 빗대보면 새벽에 가까울 것이다. 중2병이라는 별칭이 나올 정도로 한국의 중학생들은 많이 아픈가 보다. 아이들 한명 한명의 모습을 지켜보는 마음이 편치만은 않다.

“얘들아, 아직 포기하고 눈을 감기에는 너무도 이른 새벽시간이야. 영어단어가 낯설고, 한자가 헷갈리고, 수학공식이 머리 쥐나게 한들. 그것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란다.” 눈빛으로 아이들에겐 건넨 말이 건네졌을까?

아이들이 혹시 오답을 적기도 하고 마킹에 실수도 한다. 하지만, 아직 시간은 넉넉하고 새 답지에 답을 옮겨 적을 수 있게 돕는 것. 아마도 이것이 부모의 역할이 아닐까?

부모는 멀리 보라고 하고
학부모는 앞만 보고 가라고 합니다.
부모는 함께 가라하고
학부모는 앞서가라고 합니다.
부모는 꿈을 꾸라고 하고
학부모는 꿈꿀 시간을 주지 않습니다.

한 광고문구의 로고가 생각이 난다. 부모와 학부모 이 두 긴장감사이에서 나는 어디쯤 있으려나.

시험일 비는 내리고, 아이들도 책상 앞에 앉았다. 어김없이 마침 종소리는 온 학교를 울려오고 아이들은 한교시의 시험을 끝낸 해방감으로 답지를 걷어낸다.

교실 옆 복도에 걸려있는 학생이 적은 듯한 시 한편이 있어 남겨본다.

두근두근 거리는 내 마음이
붙잡을 수 없을 정도로
두근거리고 있다.

시험시간 떨리는 마음으로
시험지를 펼치는 순간
앞이 안 보인다.

마음을 붙잡고
시험지를 보며
수업시간 선생님의 말씀을 생각한다.

너무 멀리서 손에 땀이 난다.
답지에 적을 때
실수할까 겁이 난다.

시험을 다 치고 나면
‘아! 이거’라며
아쉬워한다.

다음에 열심히 하자며
다 친 시험지를 들고
집에 오는 무겁기만 한 마음.

-권종록 지음

아이들의 솔직한 마음이 담긴 듯 하다. 시를 보며 혼자 건네는 말 "애들아 실수해도 괜찮아. 너희는 아직 새벽의 시간을 살고 있어. 너무 무거워마! 그 한 번의 시험이 전부는 아니니깐. 니네들은 엄마 아빠의 소중한 생명, 어느 때보다 아름다운 시절을 지나고 있으니..."

작성자
김광영/부비 리포터
작성일자
2015-05-08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