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일부터 우편번호가 새롭게 태어난다
- 내용
-
우편물의 수집 및 분류 작업의 능률화, 기계화를 위하여 지식 경제부가 각 지역마다 일정하게 매긴 번호가 우편번호다. 우리나라 우편번호는 1970년 7월 1일 최초로 제정되었으며 지번주소로 6자리 우편번호를 사용하여 왔다.
우리나라는 2014년 기존 지번주소에서 도로명 주소로 전환하였다. 도로명 주소는 도로, 하천, 철도 등에 이름을 붙이고 주택이나 건물에는 도로를 따라 순차적인 번호를 붙여 도로명과 건물번호에 의해 표기하는 새로운 주소다.
3만 4천 349개의 새 우편번호는 앞 1, 2자리는 특별(광역)시·도, 3번째 자리는 시군·자치구, 4, 5번째 자리는 북서방향에서 남동방향으로 부여된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기존의 6자리 우편번호가 사라지고 5자리 기초구역번호로 바뀌면 도로명주소 체계에 적합하고 통계, 우편 등 공공기관의 각종 정보 공유로 국가차원의 경쟁력이 강화가 된다. 또한 분류가 쉬워져 잘못 배달될 일이 줄어들고 배달업무도 한결 쉬워진다. 이에 따라 2015년 8월 1일부터 우편번호도 새롭게 도입되니 관심을 가져야겠다.
새우편번호 도입에 따라 우리집 우편번호는 인터넷우체국(www.epost.kr)나 우정사업본부(www.koreapost.go.kr) 및 우체국 홈페이지에서 안내를 통해 쉽게 찾을 수 있다. 사이트에 들어가 도로명 주소 혹은 건물명을 입력하면 바로 새로운 우편번호를 알 수 있다고 하니 새롭게 바뀌는 우편번호를 꼭 확인합시다. 택배·편지 부칠 때를 비롯해 주소를 써야하는 모든 상황에서 주소를 모르면 불편할때가 있으므로 이제는 꼭 기억해야 할 것 같다.
- 작성자
- 이정례/부비 리포터
- 작성일자
- 2015-05-18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