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철도역 ‘장애인전동차’ 무료충전.
- 내용
부산광역시도시철도는 장애인을 위하여 도시철도 역사에 전동차무료충전소를 설치하여 장애인에게 기쁨을 주고 있다. 세상에서 공짜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겉으로 좋아하는 사람이나 속으로 좋아하는 사람이나 공짜는 좋아한다. 그래서 우리 선조들의 이런 속담이 전해온다. ‘공짜로 주는 것은 양제 물도 먹는다.’ 라고 말이다.부산도시철도역사에 ‘장애인 전동휠체어 배터리 무료 급속충전소‘를 설치하였다. 이 충전소는 전동보장구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해 운영하는 전동휠체어 배터리무료 충전소이며 장애인은 누구나 도시철도를 이용하다가 배터리를 무료 충전할 수 있다.
무료충전기는 사용설명서를 부착하였다. 누구나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있다. 전기로 움직이는 기계인데 몸이 불편한 장애인은 조심하여 이용해야 한다. 이 장비는 부산 ‘사랑의 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설치했다.
도시철도역사에 설치한 역은 1호선 연산, 서면, 신평, 하단, 당리, 사하, 괴정, 토성, 중앙, 부산, 초량, 부산진, 범일, 범내골, 양정, 교대, 온천장역에 설치되어 있다.
2호선은 장산, 중동, 시립미술관, 샌텀시티, 광안, 대연, 못골, 문현, 가야, 개금, 주례, 덕포, 모라, 수정, 율리, 동원, 금곡역이다.
3호선은 미남, 대저, 망미, 배산, 물만골, 사직, 만덕, 숙등, 구포, 체육공원역이다. 4호선은 수안, 낙민, 충렬사, 명장, 서동, 반여농산물, 고촌역이다. 그리고 해남학교 두 곳에 설치되어있다.
한편 장애인도 우리사회의 일원으로 삶의 질을 정부로부터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그래서 부산광역시와 장애인복지관에서 도시철도 노선별 장애인들이 많이 나들이를 하는 역에 무료충전소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문의전화는 051-790-6190~6번으로 하면 상세하게 알려줍니다.
- 작성자
- 황복원/이야기 리포터
- 작성일자
- 2016-01-23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