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농업은 세상의 큰 근본, 기장 <농담도서관>

내용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만화리에 자리한 기장군 농업기술센터에 지난 2022년에 농업기술 특화 작은 도서관인 농담(農談)도서관이 들어서 있어 농업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어요. 

수정됨_KakaoTalk_20240517_164357257
농담도서관이 있는 기장군 농업기술센터의 농업아카데미관.

 

수정됨_KakaoTalk_20240517_164357546
 농담도서관 출입구.


농담도서관은 최신 농업 기술 지식이나 정보를 신속하고 올바르게 전달하기 위해 총사업비 14천만 원을 투입해 184㎡ 규모로 조성한 것이죠. 오픈 열람대, (bar)형 열람대, 디지털 열람대 등 총 29개의 열람 좌석과 자가 대출 및 반납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요.

수정됨_KakaoTalk_20240517_164357847
농담도서관 열림실.

 

수정됨_KakaoTalk_20240517_164358135
화분으로 장식한 도서관 내부.

 

수정됨_KakaoTalk_20240517_164358396
도서관 내부 여러 화분.

 

농업 경영, 작물 재배 기술, 병충해 등 농업 도서와 유관 기관에서 배포한 전문 자료 등 약 2,000여 권의 전문 도서를 비치하고 있으며, 정기 간행물과 자료 검색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어요.

수정됨_KakaoTalk_20240517_164358723
농업에 관한 여러 자료.

 

수정됨_KakaoTalk_20240517_164359024
농업에 관한 여러 자료.

 

수정됨_KakaoTalk_20240517_164359338
농업에 관한 여러 자료.

 

수정됨_KakaoTalk_20240517_164359640
 
농업에 관한 여러 자료.


수정됨_KakaoTalk_20240517_164359918
농업에 관한 여러 자료.

 

기장군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농업 관련 전문 도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농업 자료를 수집해 나갈 것이며, 농업이나 농촌에 관심 있는 사람들과 함께 농업을 말하는 도서관으로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하는군요.

수정됨_KakaoTalk_20240517_164400305
농업에 관한 여러 정기 간행물 자료.


예로부터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라고 했지요. 농업은 세상 사람들이 살아가는 큰 근본이기에 모두가 농업을 장려해야 한다는 뜻이죠. 그만큼 농업은 아주 중요하고 농촌 지역은 식량 생산을 전담하는 전초기지 역할을 하는 것이지요.

수정됨_KakaoTalk_20240517_164400863
농업 용품 전시.

 

그리고 식량안보라는 말처럼 식량은 사람 생명과 나라 운명을 좌우하는 무기로도 전용될 수 있을 정도로 점차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어요. 따라서 모두가 농업에 관해 큰 관심을 지녀야 해요. 아무리 배가 고파도 반도체나 자동차를 먹을 수는 없지 않은가요?

수정됨_KakaoTalk_20240517_164401149
도서관 앞 식물 재배 정보.

 

농담도서관은 부산시민 또는 부산시 소재 직장인이나 학생이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요. 운영 시간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개방하며, 주말이나 공휴일은 휴관이에요. 회원은 15, 15일간 대출이 가능해요.

기장군농업기술센터 대표 전화 051-709-5301~8.

주소는 (46052)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반송로 1370-22

 

작성자
박소연
작성일자
2024-05-20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