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순국선열 표본 <국군 용사 충혼탑>

내용

우리나라 역사를 살펴보면 숱한 외세 침략의 역사였습니다. 나라가 힘이 약하고 국방과 안보에 소홀하여 주변 열강에 동네북 신세를 당했습니다. 그로 인해서 나라는 쑥대밭이 됐고 백성은 모진 고통을 겪었습니다.

KakaoTalk_20250525_155804519
국군용사 충혼탑 전경.


많은 외세 침략 가운데 가장 큰 피해를 끼친 것은 같은 민족이지만 체제와 이념을 달리한 공산 북한의 침략에 의한 6.25 한국전쟁이 아닐까 싶습니다. 공산 세력에 의해 나라를 잃을 뻔했는데 미국을 비롯한 유엔군 참전으로 다행히도 나라를 보전하게 됐습니다. 그리고 국군장병과 많은 무명 용사들의 도움도 국토방어에 큰 힘이 됐습니다.

KakaoTalk_20250525_155805388
6.25 한국전쟁 때에 전몰 장병 충혼비


조국이 풍전등화의 위기를 맞아 국가와 국민을 지키기 위해 순국한 사람들을 기리는 호국보훈 시설은 전국 곳곳에 많습니다. 그 가운데 부산에 일반에 덜 알려진 눈길 끄는 호국보훈 시설이 있습니다.

부산시 강서구 죽림동 오봉산 기슭에 자리한 충혼탑이 그것입니다. 이 충혼탑은 6.25 한국전쟁 때에 나라를 침략한 공산 세력을 물리치려다가 희생한 국군 용사들의 넋을 기리는 시설입니다. 6·25 한국전쟁 중 낙동강 전투에서 싸우다가 희생된 강서구 가락동 출신 국군 용사 39명의 넋을 기리는 호국보훈 시설입니다.

KakaoTalk_20250525_155805029
전몰장병 비석.

 

원래 이들 호국 영령 39기의 영위(靈位)는 금정구 범어사에 안치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다 지역 주민과 유족의 요청으로 19523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오봉산 문수암에서 위령제를 올린 뒤 현재의 강서구 국군묘지로 옮겼습니다.

19935월 초 부산 강서구청에서 탑 제작비와 조경 사업비 명목으로 예산을 들여 부산대학교 김성희 교수와 동아대학교 원승덕 교수에게 충혼탑 제작을 의뢰하여 625일에 국군 용사 충혼탑을 세우게 됐습니다.

KakaoTalk_20250525_155805735
이은상 시인의 전몰장병 영혼 기리는 시조.


충혼탑은 전체 높이 6.6m의 화강암 재질로 높이 솟아 있고, 탑을 받치고 있는 하단부에는 국군 용사의 모습이 동판 모형에 양각으로 새겨져 있습니다. 면적은 534.0㎡입니.

충혼탑 앞면에 국군 용사 충혼탑이라 새겨 놓았고, 뒷면에는 여기는 6·25 동란 때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이 고장 출신 서른아홉 분의 유해를 모신 성지다. 당시 이분들은 20대 전후의 미혼이었고 대부분이 국가존망이 위태로웠던 낙동강 전투에서 산화하였으며 다섯 분은 무명용사로 혈연마저 찾을 길이 없다. 유해는 한동안 동래 범어사에 안치되었다가 19523월경 오봉산 문수암에서 위령제를 올린 뒤 여기에 안장하였다. 40여 년의 세월이 흐른 오늘까지 이분들의 충혼은 사람들이 잊지 못할 자랑이라 길이 추모하고자 이 탑을 세우다.’란 글을 새겨 놓고 있습니다.

KakaoTalk_20250525_155828274
가락 국가관리 묘역 설명문.


충혼탑은 현재 가락동주민센터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 인근 가락중학교에서 주변 환경 정화와 현장 교육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강서구청은 매년 66일 현충일 추모식을 이곳에서 거행하고 있습니다.

KakaoTalk_20250525_155828695
가락 국가관리묘역 입구.


지역 출신의 6·25 전쟁 무명용사들을 해당 지역 자치단체에서 널리 기리는 것은 큰 의미가 있습니다. 6·25 전쟁을 맞아 조국과 고향을 지키려고 목숨을 잃은 20대 전후의 젊은이들을 그들의 고향에서 기림으로 인해서 유족과 지역 주민의 전쟁에 따른 상처를 치유하고, 나라사랑과 조국수호 의지 확립에 이바지하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작성자
박정도
작성일자
2025-07-02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