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이야기리포트

황령산 이색 명소 <김소월 시(詩)와 함께하는 길>

내용

KakaoTalk_20250504_145255528
 

한국인이라면 시인 김소월(본명은 정식)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진달래꽃, 산유화, 금잔디, 초혼, 엄마야 누나야 등 주옥 같은 시를 남긴 김소월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서정시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KakaoTalk_20250504_145252328
 

KakaoTalk_20250504_145254463
 

한국인 누구나 아주 좋아하는 시인 김소월을 널리 기리고 그의 여러 애송시를 새긴 시비를 세워 놓은 곳이 들어서 눈길을 끕니다. 그곳은 다름 아닌 부산의 명산 가운데 하나인 황령산입니다.

KakaoTalk_20250504_145255050
 

KakaoTalk_20250504_145255976
 

부산시, 남구청, 산림청이 서로 협조하여 202410월부터 연말까지 3억 원의 예산을 들여 황령산 생태숲에 2.3km에 걸쳐 김소월 시와 함께하는 길을 조성한 것입니다.

KakaoTalk_20250504_145256367
 

KakaoTalk_20250504_145256745
 

김소월 시비는 문현동 쪽의 황령산 유원지 야외놀이터 입구에서부터 임도를 따라 쭉 10기가 세워져 있습니다. 각 시비 주변에는 진달래, 꽃무릇, 수선화 등으로 수를 놓은 작은 화단을 꾸며 놓았습니다.

KakaoTalk_20250504_145257148
 

KakaoTalk_20250504_145257538
 

시비는 희거나 검은 빛깔의 좋은 돌로 꽤 규모 있게 조성해 놓았습니다. 10개의 시비를 보자면 대한민국 국민 최고의 애송시 진달래꽃’을 비롯하여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부모’ ‘산유화’ ‘못 잊어를 세워놓았습니다. ‘바람고개정상엔 초혼이 우뚝서 있습니다. 그리고 먼 후일’ ‘옛이야기’ ‘엄마야 누나야’ ‘금잔디는 정상에서 오른쪽 아래로 조성된 편백나무 숲길에 들어서 있습니다.

KakaoTalk_20250504_145257904
 

KakaoTalk_20250504_145258256
 

우리나라 대표 시인으로서 250편 안팎의 많은 시를 남긴 김소월은 평안북도 구성에서 1902년에 태어나 1934년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부산에서 관부연락선을 타고 1923년 초에 도쿄상대로 유학을 가고 그해 가을에 관동대지진으로 돌아왔습니다.

KakaoTalk_20250504_145259296
 

황령산에 소월 시비를 대거 건립해 놓았으니 부산시민이라면 한번 이상은 찾아 김소월 문학의 향기를 느긋하게 음미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팍팍한 세상살이에 감동적인 시를 읊어보는 것은 생업에 지친 심신에 활력을 주고 고루한 삶에 대한 왕성한 의욕을 북돋워주기에 충분합니다.

KakaoTalk_20250504_145259715
 

KakaoTalk_20250504_145258934
 

황령산에 자리한 김소월 시와 함께 하는 길은 부산의 자랑거리는 물론이고 대한민국의 관광 명소로 각광 받을 것으로 믿습니다. 지금 당장 시간을 내서 황령산을 찾아 심신을 단련하고 김소월의 명시를 읽으며 산책의 묘미에 듬뿍 젖어 보면 어떨까요? 오래도록 되새길만한 근사한 추억의 하나로 남을 것입니다.

 

 

작성자
박정도
작성일자
2025-05-04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