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부산 도심 속 ‘봄’ 소식은 이곳에서 피어요.
조분자/이야기 리포터 2018-03-02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 위치한 부산수목관리원(이하 수목원)은 이상한 돔구장 같은 건물 한 동이 있다. 건물의 공식명칭은 ‘아열대식물체험관’입니다. 즉 우리나라 같이 4계절이 뚜렷한 국가만이 특권을 누리는 부산에 동남아 열대지방 국가에서 자라고 있는 식물들이 겨울나기를... -
대보름맞이 ‘웃음치료’ 병상생활은 행복해요
황복원/이야기 리포터 2018-03-01
정월 대보름날을 앞둔 대연동에 위치한 모 요양병원은 지난 2월 28일 오후 2시 병원 10층 강당에서는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병상에서 우울한 환자들을 위하여 가수 이미자의 노래인 ‘섬마을 선생님’이 흘러나온다.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은 휠체어에 몸을 싣고 마냥 즐거워한다... -
‘바다를 옮겨온 싱니로’ 부산 해양자연사박물관 첫 특별전
김홍표/이야기 리포터 2018-03-01
부산 해양자연사박물관이 올해 첫 특별전으로 ‘바다를 옮겨온 싱니(취미)로’를 박물관 제1관 특별전시실에서 열고 있다. 이번 전시회는 부산의 수공예 작가단체 '예모 팩토리'의 크래프터 20명의 공예작 100여점을 3월 18일까지 전시하고 있다. '싱니'는 관심·취미·좋아... -
새로운 시선으로 보는 역사와 문화 인문학 트랩 in 부산
이정례/이야기 리포터 2018-03-01
내가 속해있던 문화에서 벗어나 다른 문화를 접함으로서 문화속에 억압되어 미처 인식되지 못했던 진정한 나를 발견하려면 여행을 권유하고 싶다. 최근 부산외국어대학교 CORE 사업단에서 추진하는 역사와 문화로 보는 새로운 시선 인문학 트랩 in 부산은 부산시민들에게 큰 호응... -
부산의 3⋅1운동과 독립투사들 ‘우리는 일어선다’
김광영/이야기 리포터 2018-03-01
“일제는 한국인을 강제징용으로 끌고 가 광산이나 공장에서 고통스러운 노동을 강요하였고, 지원병 제도와 학병제, 징병제를 실시하여 많은 청년들을 전쟁터로 내몰았다. 일제는 여성들도 근로보국대, 여자근로정신대 등의 이름으로 끌고 가 노동력을 착취하였다.”예전 중학교 국사 ... -
부산유아교육진흥원 토요가족체험
김청윤/이야기 리포터 2018-02-28
부산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부산광역시유아교육진흥원에 아이들과 다녀왔습니다. 지하철 다대포항에서 4번출구로 10분정도 걸어가면 유아교육진흥원 후문이 나옵니다. 예전에 초등학교 건물이었는데 2007년 유아전용 체험놀이 학습장인 유아교육진흥원으로 바뀌었습니다. 건물밖은 아... -
해운대바다갤러리 쉼터에서는....
천연욱/이야기 리포터 2018-02-25
해운대 바닷가에 가면 '해운대관광안내소'가 있습니다. 해운대뿐만 아니라 '부산 갈맷길 안내책자'까지 비취되어 있고, 국내인과 국외인의 관광해설과 관광안내까지 해주며 때로는 미아찾기등 긴급안내까지 방송되는 곳이라고 합니다. 해운대를 찾는 많은 관광객에게 긴급한 도움뿐 아... -
그린레일웨이 2구간 걸어보기
정헌숙/이야기 리포터 2018-02-25
동해남부선 폐선구간이 산책길로 조성되고 있다. 올림픽교차로에서 부산기계공고까지의 1구간은 2016년 연말에 완공되어 이미 많은 사람들이 길을 이용하고 있다. 2구간은 부산기계공고에서 미포까지, 그리고 옛송정역에서 동부산관광단지 입구까지의 3.4키로미터 구간인데 지난 연... -
2018평창올림픽에서 만난 부산 특산품
안다현/이야기 리포터 2018-02-24
2018평창올림픽은 설원 위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경기와 빙상경기를 만날 수 있습니다.동계 스포츠는 물론이고 문화의 장이 열리는 이곳에서는 우리나라의 우수 상품을 전시 판매하는 강원상품관과K-MALL을 만날 수 있습니다.강릉 KTX역 앞에서 마련된 페스티벌 파크는 문화 ... -
이중섭 작가의 흔적을 따라서
김혜민/이야기 리포터 2018-02-23
제주도 이중섭 거리는 번질나게 드나들었지만, 부산 이중섭 전망대는 이름조차도 생소하다. 6·25 전쟁 때 몰려든 피난민들이 이 비탈진 산지에 판자촌을 지으며 마을을 형성했다. 그 속에 이중섭도 포함되어 있다. 제주도에서 부산으로 건너와 1950년 12월부터 1953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