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부산 교육과 문화의 뿌리 동래향교를 찾아서
이정례 2019-11-16
부산 교육과 문화의 뿌리 동래향교를 찾아서 조선시대 부산 지방에는 어떤 교육기관이 있었을까 궁금하여 동래향교를 찾았다. 동래 명륜초등학교 바로 옆 동래향교에는 하마비와 유림회관, 향교가 고즈넉하게 반긴다. 부산 지방 교육과 유교 성현을 받드는 향교는 동래고등학교, 임진... -
미래형 도시철도 무가선 트램 오륙도선 타보니
황복원 2019-11-14
▲ 무가선 트램 오륙도선 시승차량 전경부산광역시 남구 도시철도 2호선 경성대·부경대역에서 오륙도까지 11개 정거장을 운행하는 한국 최초의 ‘무가선 저상 트램’을시승하러 한국철도연구원을방문했다. 미래형 도시철도인 ‘무가선 저상 트램’이란?기존의 노면 전차와 달리 대용량... -
조상의 멋과 슬기가 묻어나는 한복을 체험해보자
조분자 2019-11-13
▲ 한복체험관 '아담' 전경부산광역시 중구 용두산공원 내 전통 담장을 만들어 놓은 입구 우측에는 전통고유의 의상인 한복을 체험할 수 있는 '아담'이라는 곳이 자리합니다. 한복은 우리조상들의 의복이죠. 기후풍토와 생활양식에 알맞게 정착된 우리 고유의 민족의상입니다. 한복... -
자유시장, 평화시장 그리고 제로페이
금광진 2019-11-12
부산 진시장을 찾았습니다. 진시장은 저렴한 가격과 높은 퀄리티로 부산뿐만 아니라 시외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찾는 전통시장입니다. 1층에는 신발과 함께 여러 생활소품, 2층은 의류, 3층은 생화,조화 등을 도,소매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또 바로 맞은 편으로 평화시장이 있... -
도시에 꿈과 희망을 그리다, 금사동 도시재생 스토리
이정례 2019-11-11
‘도시에 꿈과 희망을 그리다’ 금사동 도시재생 스토리1970~80년대 금사동을 기억하십니까? 신발·섬유 중심 산업으로 호황을 이루며 사람과 물자가 몰리는 원도심이었던 금사동은 1990년대 이후 국내 제조업과 경공업 쇠퇴로 도심은 활력을 잃었다. 하지만 다행히도 경제성장... -
부산 수돗물 안전하게 마시자! 수돗물시민평가단
김홍표 2019-11-11
부산 수돗물 안전하게 마시자! 수돗물시민평가단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에서는 2017년부터 매년 부산의 수돗물 순수365의 신뢰도 제고와 음용률 향상을 위한 시민평가단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 3년째를 맞은 수돗물시민평가단은 평소 수돗물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많은 학생, 주... -
구도심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민주공원의 가을
김혜민 2019-11-07
▶ 민주공원 입구 모습. 하얀색 쇠로 된 문에 대한민국이라는 글자가 만들어져 있다. ▶ 단풍이 물든 나무들과 파란 하늘이 멋있게 펼쳐진 민주공원 모습.붉게 물든 단풍이 고와서 하루 종일 그 아래에서 여유를 즐기고 싶은 가을이에요. 멀리 떠나고 싶지만, 그럴 수 없어 도... -
조용하게 둘러보기 좋은 금강식물원
천연욱 2019-11-05
부산 금정구 장전2동 산 43-1에 위치한 금강식물원은 1969년 9월 10일에 준공 개원을 했습니다.50년의 세월동안, 부산 시민의 심신의 휴양과 청소년 학생들의 자연 관찰 학습과 야외학습의 장으로서 공간이 되어준 금강식물원을 다녀왔습니다.처음 개원했을 때는 친구들과... -
한국과 영국의 역사적 첫 만남의 장소, 신선대
황복원 2019-11-04
▲ 영국 앤드류왕자 방문 기념비 신선대는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 산 170번지 일원에 자리한다.1797년 (정조21년) 10월 14일 영국의 탐사선 영국 해군소속인 프로비던스호 일행이 부산항 입구 용호동 신선대를 방문하여 한국 주민들과 최초 접촉을 한 곳이다. 해방 후에... -
용두산 공원에서 특별한 두 곳을 만나다.
황복원 2019-11-01
▲사진설명 : 용두산공원 전경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에 위치한 용두산(49m)에 있는 공원을 용두산공원(이하 공원)이라고 한다. 원도심에 있는 구릉으로 부산 명산 세 곳 중 한곳이다. 옛날에는 울창한 소나무 사이로 바다가 보였다고, 송현산이라 하였다가 그 후 산세가 흡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