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부산·해운대·동백섬·최치원
김동균 2021-06-30
부산하면 제일 먼저 연상되는 단어는 해운대다.해운대의 지명은 신라시대 명문장가 고운 최치원 선생이 동백섬의 경치에 매료돼 바위에 새겨 유래되었다고 한다.또 동백섬 하면 불세출의 가수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 가 떠오른다.‘꽃 피는 동백섬에 봄이 왔건만, 형제 떠난... -
쉽게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지질박물관>
금광진 2021-06-30
지질학은 지구의 진화와 현재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지만 일상에서는 지질에 대해서 체험하고 이해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하지만, 부산에서도 '지질박물관'이 있어 좀 더 쉽게 이해하고 구경할 수 있었습니다.부산대학교 지구관 1층에 위치한 ... -
아미동 비석문화마을 피란생활박물관을 둘러보고
박설비 2021-06-21
6.25 한국전쟁 발발 기간 도중에 부산의 대표적인 피란민 촌이었던 서구 아미동 비석문화마을에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피란생활박물관이 최근에 들어서 둘러봤습니다.관할 부산 서구청은 예산 5억 원을 들여 비석문화마을 입구에 있는 주택 9채를 리모델링해 박물... -
휴식과 여가 선용 명소 <송도오션파크>
박정도 2021-06-18
고도의 첨단 문명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물질적인 풍요를 누리지만 언제나 크고 작은 스트레스나 우울증에 시달립니다.그래서 때때로 휴식이나 적절한 여가 선용이 필요하죠. 충분하게 쉬면서 심신의 피로를 풀고 힘을 비축해야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누릴 수 있습니다. 휴식과 ... -
장미지고 수국이 동무하는 온천천의 풍광.
황복원 2021-06-15
▲ 온천천 수국이 피는 길 산책하는 시민들코로나19로 부산시민이 고통과 스트레스로 2년 전 생활리듬은 사라지고 요즘같이 초여름더위에 마스크를 나들이하기가 많이 불편합니다.그래도 여태껏 잘 참고 견디어 왔으며 백신을 맞고 금년 추석은 가족들과 한자리에서 조상님께 차례올리... -
호국보훈의달 6월, 유엔(UN)기념공원
김동균 2021-06-13
70년전 머나먼 타국의 평화를 위해 참전한 그들의 아픈 영혼이 잠들어 있는곳, 이름 모르는 동양의 가난한 나라로 파견돼 피 흘리며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외국인 참전용사 영령들이 안치되어 있는 유엔기념공원, 6.25참전국의 조각가들이 제작한 조각품을 기증받아 조성한 UN... -
그네 작곡가 <금수현 음악의 거리>를 아십니까?
이옥출 2021-06-13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세모시 옥색치마 금박물린 저 댕기가~"로 시작되는 가곡 ‘그네’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이 가곡은 김말봉이 시를 쓰고 금수현(1919~1992)이 작곡한 대한민국 국민의 대표적인 애창곡 가운데 하나다.가곡 그네를 작곡한 유명한 음악가 금수현을... -
마음이 뻥 뚫리는 광안리 해변 산책 어때요?
정윤경 2021-06-07
오늘은 코로나19로 몸과 마음이 많이 피로해져 있는 여러분들을 위한 소식입니다.모두들 코로나가 장기화 되면서 야외 활동을 자주 못하다보니 많이들 답답하실텐데요,수변공원~광안리 해변으로 이어지는 코스를 적극 추천드립니다!마스크 꼭 착용하시고 수변공원에서 광안리 해변으로 ... -
APEC 나루공원 500년 팽나무 할배·할매나무 황혼여행
김동균 2021-06-06
지하철 홍보 전광판에 “걷기는 신이 내린 최고의 자연건강요법이다”라는 말이 진하게 여운을 남기며 시선을 끈다.이 세상에서 걷기를 능가할 운동은 없다.걷기는 발끝부터 머리끝 까지 움직이게 하는 전신운동으로 우리몸의 206여개의 뼈와 600개 이상의 근육과 힘줄을 움직이게... -
부산 속의 작은 섬, 오륙도
김다영 2021-06-02
부산 속의 작은 섬, 오륙도를 바라보다.오륙도를 아시나요? 동쪽에서 바라보면 여섯 봉우리가 되고, 서쪽에서 보면 다섯 봉우리가 보인다고 하여 붙여진 오(五)륙(六)도입니다.오륙도의 6개의 섬들은 육지에서 가까운 것부터 방패섬·솔섬·수리섬·송곳섬·굴섬·등대섬으로 나누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