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원도심 속 부활하는 문화와 예술 ‘또따또가’
이정학/부비 리포터 2011-10-10
얼마 전 ‘부산의 원도심이 부활하고 있다’는 취지의 신문 기사를 본 적이 있다. 1998년 부산시청의 연산동 이전 이후 10여 년 간 침체되어 있던 원도심이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광복동, 남포동을 비롯한 중구 지역은 KTX 완전 개통, 지역문화 ... -
BIFF 개막식 몇 시간 전 ‘영화의 전당’ 스케치
이상미/부비 리포터 2011-10-06
드디어 제 16회 부산국제영화제(BIFF)의 화려한 막이 올랐습니다. 그동안 해를 거듭할수록 진화해온 영화제이기에 사람들이 거는 기대도 그만큼 컸습니다. 더구나 올해는 남포동 PIFF 시대에서 해운대 BIFF로 완전히 전환점을 이루는 시기라 한층 더 주목 받고 있는 것... -
“농촌의 정취가 물씬 느껴져요”
정헌숙/부비 리포터 2011-10-06
짙은 푸른색의 산이 병풍처럼 빙 둘러싼 철마의 장전천 들녘에서 제6회 철마 한우불고기축제가 열렸다. 들녘에는 벼가 누렇게 익어있고 수확이 끝난 일부의 논에서는 미나리가 파랗게 자라고 있어서 철마의 가을 풍경은 눈이 부시다. 축제장에 들어서니 멀리 고기 굽는 연기가 하늘... -
꿈꾸는 달팽이 마을 ‘꿈달’
김광영/부비 리포터 2011-10-06
“가다 지치면 짐처럼 지고 다니는 달팽이집에 잠시 몸을 숨겨 휴식을 취하고 또 묵묵히 제 갈 길을 갑니다. 꿈을 이루기 위하여...” 카페 ‘꿈달’에 들어서기 전 현판에 쓰여있는 글귀다. 거친 세파 속에 소박한 삶을 살아가는 서민들의 삶을 상징하는 달팽이, 하지만 그 ... -
선생님, 이 꽃 이름이 뭐예요?
이상미/부비 리포터 2011-10-04
화명생태공원에서 펼쳐진 '낙동강문화대축제' 프로그램의 하나인 낙동강생태체험에 참가했습니다. 초등학생 이상 가족단위가 함께 한 이번 행사는 수생식물은 물론 주변 식물들까지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더구나 습지를 한 바퀴 돌아오는 약 1시간 30분 정도... -
국내 최대의 강 축제 화명 생태 공원에서 열리다
박인부/부비 리포터 2011-10-04
다양한 문화의 장, 화명 생태 공원에서 초가을의 축제의 열기와 다양한 체험의 행사가 열렸습니다. 제1회 낙동강 문화 대축제가 9월 30일부터 10월 3일까지 화명생태공원을 중심으로 한 낙동강일원에서 개최하였습니다. 이 축제는 낙동강의 수려한 자연경관을 최대한 부각시키는... -
찬바람불면 약초상에 들러볼까?
황은영/부비 리포터 2011-10-04
찬바람 불면 많이 찾습니다! 이건 또 뭐 예요? 요건 익모초고 저건 헛개나무, 육모초, 당귀... 열거하는 아저씨의 말씀에 내 눈에는 하나같이 비슷비슷한 풀 모양이다. 요즘처럼 가을의 문턱에 들어서면 단골들의 발걸음으로 초재방 문턱도 바빠진단다. 영도 다리입구에 모여 ... -
가을, 거리에서 춤을 만났다
정헌숙/부비 리포터 2011-09-30
아침저녁으로 많이 선선해진 9월의 끄트머리. 폐장을 하루 앞둔 해운대 해수욕장 주변에서는 좀 특별한 공연이 열렸다. 한국 최초의 장소 특정적 거리 춤 경연대회다. 춤이 공연되는 무대가 특별히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백사장, 포구, 거리, 상점 앞 등 일상생활 공간을 무대... -
일상의 변화가 지구를 살립니다
박인부/부비 리포터 2011-09-30
부산광역시와 사단법인 기후변화 에너지 대안센터가 공동 주최하는 2011 낙동강 생태문화와 함께 하는 에너지 가족 캠프 ‘곰 세마리’캠프가 창녕 ‘그륵 꿈는 집(경남 창녕군 대지면 본초리 276 구.대학 초등학교)’에서 9월 3일 ~10월 23일 매주말 1박2일 과정으로... -
‘국제청소년 비전스쿨’ 개원 현장 탐방
김광영/부비 리포터 2011-09-30
‘중도입국 청소년’이라고 들어본 적이 있는가? 이 낯선 단어는 다름 아닌 국제결혼을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이 결혼 후 현지의 자녀들을 한국에 데려온 아이들을 칭하는 말이다. 다문화가족상담지원센터 오세련 소장은 이 청소년들에게 대해 전국에 약 1 만명 정도로 추정은 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