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우리의 일상속에 스며드는 길 위의 인문학
박인부/부비 리포터 2013-10-07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역 공공도서관 121개관이 참여하는 ‘2013 공공도서관 길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을 9월10일에서 11월 30일까지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지역의 문화, 교육의 거점인 공공도서관에서 지역주민들이 생활 속 인문학을 몸으로 익히면서 인문정신문... -
우리 동네 착한 가격 업소는 어디?
박인부/부비 리포터 2013-09-30
부산광역시에서 2013년 상반기에 고물가에도 서민경제 안정을 위해 값싸고 품격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온 ‘착한가격업소’ 153곳을 새로 지정해서 기존 372 곳에서 525곳으로 늘어났고 외식업 483곳, 이미용업 33곳, 세탁업 5곳, 목욕업 4곳 등이라고 하더군요, 관... -
부산 공예품의 전통 기법과 현대의 멋을 느껴요
김홍표/부비 리포터 2013-09-30
부산 공예작가들의 작품을 만나보고 싶을 때 어디로 가야 할까요? 바로 부산 벡스코 지하1층 ‘부산공예품 전시판매장’으로 가면 될 것 같다. 부산의 목칠공예, 도자공예, 금속공예, 한지공예 등 전통적 기법과 현대적인 멋을 바로 보여주는 다양한 공예작품들이 아주 많다. 전... -
가을바다에서 예술의 향기를 느끼며
정헌숙/부비 리포터 2013-09-24
올해 개장 100주년을 맞이하는 송도해수욕장에서 2013년 바다미술제가 열리고 있다. 바다와 미술, 얼핏 보면 어울리지 않는 것 같지만 무한히 열린 바다와 무한히 열린 예술의 상상력을 생각하면 공통점이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바다미술제는 88올림픽이 열리기 전인 198... -
‘디딤씨앗통장’ 들어보셨나요?
김광영/부비 리포터 2013-09-23
유용한 복지정보를 민들레 홀씨처럼 널리 퍼트렸으면 합니다. 사회복지에 힘을 쏟고 있는 보건복지부에서 주관하고 부산시가 실행하는 여러 정책 중 '디딤씨앗통장'에 대해 소개드리고 싶네요. '디딤씨앗통장'은 저소득 아동이 사회 진출시 필요한 자립자금 마련에 도움을 주기 위한... -
의자가 없는 대합실? 쉴 곳이 필요해~
김수정/부비 리포터 2013-09-23
서울에 갈 일이 있어 부산역을 방문하게 되었다. 입석으로 표를 겨우 구해서 기차에 탈 수 있을 만큼 부산역을 통해 목적지를 향하는 사람들이 많았었다. 기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은 만큼 부산역안 대합실에도 사람들로 붐비고 있었다. 기차를 타고 부산으로 오는 친구나 가족... -
기와지붕 위 장관을 이룬 ‘와송(瓦松)’, 어디에 좋을까?
황복원/부비 리포터 2013-09-16
근대부산 건축물스토리 찾아 부산시기장군 철마면 와여리 수라간식당에서 점심을 먹으러 들어가는데 사람들이 웅성거리고 있다. 무슨 일이라도 생겼나, 라고 하면서 지붕을 쳐다보니 식당 사랑채 지붕 위는 ‘와송‘ 瓦기와와松소나무송(이하 식물)이 듬성듬성 혹은 촘촘히 살아가고 있... -
역사와 문화체험을 통해 배우는 부산
박인부/부비 리포터 2013-09-16
8.16~9.14 까지 매주 금,토 부산의 근대 역사를 직접 보고, 듣고, 느끼고, 체험하는 스토리와 문화유적이 결합된 ‘부산근대 역사 스토리 체험 투어’가 진행되었습니다. 매 회 30명씩 총 8회에 걸쳐 진행된 이번 투어코스에는 복병산 스토리, 일제강점기 스토리, 6... -
외양 포 일제치하의 일본군만행
황복원/부비 리포터 2013-09-16
젊은이들은 일제 강점기를 눈으로 체험을 하지는 못 했지만 학문을 통해서 알고는 있을 것이다. 그 악랄한 일제 잔재물이 아직도 우리 국토에 많이 남아 있다. 일제가 남긴 것이라고 모두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부산시강서구 가덕도에 가면 외양 포 일본군 요새사령부 옛터를 만나... -
가을은 독서의 계절답게 부산은 지금 독서중
김홍표/부비 리포터 2013-09-13
가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말이 아마도 '천고마비, 독서의 계절' 일 것이다. 전국이 독서의 열풍으로 가득차 시집이나 책을 들고 다니는 사람들이 부쩍 많이 늘어나고 있다. 책을 읽지 않으면 밥도 먹지마라. 밥은 몸의 양식이지만 독서는 영혼의 양식이듯이 요즈음 너나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