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부산 10년, 얼마나 달라졌나
정헌숙/부비 리포터 2014-06-23
허남식 부산시장의 재임기간이 딱 10년이다. 2004년 6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이제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아서 시민의 한사람으로서 아쉬운 느낌도 들지만 과연 그는 10년 동안 무슨 일을 했으며 부산을 어떻게 변화시켰을까, 그리고 시민들의 삶은 또 얼마나 달라 졌을... -
구포시장에는 가슴에 간판이 있다?!
황은영/부비 리포터 2014-06-19
우리나라 최대의 재래시장으로 손꼽히는 부산의 전통재래시장은 부산을 넘어 전국에서 다양한 농수산물과 사람들까지 없는게 없는 시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곳입니다. 하루에도 수십 수백만의 사람들이 구포시장에서 물건을 구입에 눈 요기까지 이젠 부산의 대표 관광지로 방문을 하... -
부산시민공원의 우리가락 우리마당 너무 좋아요
김홍표/부비 리포터 2014-06-19
어르신들께는 문화의 향수를 느끼게 하고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는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우리가락 우리마당이 부산시민공원 흔적극장에서 열린다. 우리 전통의 멋과 흥을 즐길 수 있는 2014 우리가락 우리마당은 2014년 6월부터 11월까지 매주 일요일 오후 2시부터 3... -
산불예방 위해 이것만은 꼭 지켜주세요!
이정례/부비 리포터 2014-06-17
소방방재청의 산불 통계를 보면 최근 10년간 연평균 387건의 산불이 발생하고 발생 원인의 43% 가량이 입산자에 의한 실화라고 한다. 산을 찾는 사람들의 사소한 부주의가 후세에 보존해야 할 우리의 산림에 얼마나 큰 피해를 주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산에서 발생하는 화... -
이웃과 함께 걸어 보세요
황은영/부비 리포터 2014-06-16
옛말에 '이웃 사촌'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촌지간의 친척관계 만큼 친하다는 이야기인데...요즘은 이웃에 누가 사는지? 언제 이사를 왔는지? 그 집의 숟가락 갯수를 알 만큼 친밀했던 이웃의 사정은 커녕 이웃에 사람이 살고 있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가 허다한 것 같습니다... -
송상현광장과 모너머고개
정헌숙/부비 리포터 2014-06-16
부산에 광장이 있었던가? 없지는 않다. 시민들의 궐기대회가 열리는 부산역광장, 남포동의 BIFF 광장, 시청의 녹음광장과 등대광장 등이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시설물의 부속광장일 뿐 부산을 대표하는 광장은 아니다. 6월 12일 부산을 대표하는 송상현광장이 드디어 개장을... -
빨간 열매가 주렁주렁… 보리수나무
이정례/부비 리포터 2014-06-13
“저 나무 아래에서 석가모니께서 득도했다.”는 말을 자주 듣는 보리수나무는 실제로는 다르다. 석가모니의 보리수 나무는 아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뽕나무 무리의 무화과 종류로 동남아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높이30m, 지름이 2m정도 되는 큰 상록수다. 원래의 이름은 아슈밧다나... -
영주동 모노레일 운행, ‘관광’ 보다 ‘편의’
황복원/부비 리포터 2014-06-12
부산광역시 중구청이 망양로 358번 길에 조성 중인 모노레일의 안전성 점검을 위한 시험운행을 마치고 6월 20일부터 운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영주동 가파른 계단 골목길에 8인승 모노레일을 설치했다. 80m 길이의 모노레일을 전기 힘으로 오르내린다. 관광목적 보다는 고지... -
젓가락질을 바로 배우는 교육이 바로 근본이다
이정례/부비 리포터 2014-06-12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젓가락을 사용하는 민족이 세계를 지배할 것이다.”며 젓가락 사용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하지만 요즈음 학생들은 부끄러울 정도로 젓가락질을 아무렇게 하여 걱정이다. “젓가락 사용법을 학교나 부모님께 배웠니?” 물어보면 말이 없다. 어릴때부터 ... -
지구가 더워져요
박인부/부비 리포터 2014-06-10
최근 갑작스럽게 더워진 날씨는 지구 온난화 및 기후 변화가 이젠 더 이상 다른 나라의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우리가 마주한 현실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됩니다. 이제 기후변화는 우리의 생활과 직결되는 문제가 된 것이죠. 아이들에게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놀이로 재밌게 체험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