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기장 좌천마을, 수해복구에 온힘을 다해
정헌숙/부비 리포터 2014-09-01
지난 주말 기장 쪽으로 가다보니 차가 막혀서 무슨 일인가 했더니 좌천초등학교에서 좌천삼거리, 장안제일고등학교까지 이어지는 좌천마을이 지난번 폭우에 침수되어 수해복구를 하고 있는 중이었다. 좌천의 피해가 심각하다고 하더니 바로 이 지역인 것 같았다. 수해복구를 지원하는 ... -
늘어나는 길고양이와 생태변화
정지인/부비 리포터 2014-09-01
최근 길을 가다보면 여기저기 어슬렁거리며 다니는 길고양이를 너무나 자주 보게 된다. 길거리에 주차된 차 밑이나 아파트 주차장, 공원에도 여기저기 누워 있는 고양이를 볼 수 있는데 살아 있는 생명체라 불쌍하기도 하지만 과연 저렇게 방치해둬도 될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주택지에 있는 작은 도로의 주거지 주차장에는 길고양이 밥을 여기저기에 가져다 둔 것을 볼 ... -
솔향기 맡으며 호젓하게 걷기 좋은 금정산 구름다리
김홍표/부비 리포터 2014-09-01
부산대학교 사범대 후문을 지나 무위암 입구 소방표지목 119 위치번호 93번에서 우측 산성으로 올라가는 도로 옆에 금정산 구름다리가 있다. 길이 62m, 폭 1.5m, 높이 10m인 구름다리는 부산지역에서는 제일 긴 아치형 다리로 유일하여 많은 등산객들과 시민들이 일부... -
캠핑도 즐기고 서핑도 배우는 송정해수욕장
정헌숙/부비 리포터 2014-08-29
아침저녁으로 제법 선선해지는 것을 보니 2014년 여름도 이제 우리 곁을 떠날 채비를 하는 모양이다. 태풍과 폭우로 여름을 제대로 즐기지도 못했는데 벌써 여름이 떠난다고 하니 어쩐지 아쉬운 느낌이 들어 가까운 송정해수욕장을 찾았다. 송정해수욕장은 해운대해수욕장에 비해 ... -
부산을 바로 알기위해 ‘무민사’를 찾다
황복원/부비 리포터 2014-08-29
부산광역시수영구팔도시장 주변에 위치한 ‘무민사’는 절집이 아닌 사당이다. 사당 뒤는 큰 바위가 집을 보호하고 있다. 고려 말 왜군을 크게 물리친 최영 장군(1316~1388)영신을 모신 곳이다. 이 사당은 수영민속예술보존회가 관리하고 있다. 원래 이곳은 강신 무녀가 최... -
온누리상품권 구입에 주민번호 요구와 신분증 복사가 웬 말
이정난/부비 리포터 2014-08-29
전통시장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온누리상품권의 발행취지에 맞게 은행 우체국 등 전국 1500가맹점에서 구매 시에 5%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을 할 수 있는데, 이번에 부산광역시에서 한시적으로 8월31일까지 5% 더 추가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가끔 온누리상품권을 이용하여 전통시장 장보기를 했을 때 보통의 상품권은 60%~80%... -
이순신 ‘명량’과 비견되는 호국도량 국청사
이정례/부비 리포터 2014-08-29
호국지장도량으로 이름난 국청사는 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한 고찰로 조선 숙종 29년, 금정산성 축조와 함께 중수하여 이름을 국청사라 칭하고 순조 26년 중건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현판에 ‘1703년 숙종 29년 금정산성 중성을 쌓은 후 적을 막고 지키어 나라를 보호... -
임진왜란 역사투어, 부산에서 시작해 보자
정헌숙/부비 리포터 2014-08-28
요즘 이순신 장군의 해전을 다룬 '명량' 이란 영화가 화제다. 벌써 관객이 천오백만 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어느 언론사에서는 이순신 장군에 대한 리더쉽에 대한 분석기사도 나오고 어느 방송사에서는 임진왜란을 다시 재조명해 보는 프로그램도 방송해 주고 있다. 우리의 역사를... -
푸른 자연과 사람이 함께하는 도시농업 힐링센터 ‘늘 푸른 숲’
김홍표/부비 리포터 2014-08-28
최근 도시농업이 열풍이다. 도시민들이 농업 기초부터 귀농귀촌, 도시근교농업, 약초 재배, 농촌체험관광 등 이론부터 실기까지 배워 텃밭베란다옥상에 농업을 접목시키고 있다. 부산시 도시농업 힐링센터 ‘늘 푸른 숲’에는 농업에 관심이 있거나 귀농인을 꿈꾸는 사람들로 인해 ... -
평생학습 동아리의 멋진 재주를 자랑합니다!
황은영/부비 리포터 2014-08-25
인생 100세 시대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평소에 음악에 관심이 많은 사람은 배우기 까다로운 악기 배우기에 도전을 하기도 하고 타고난 흥이 많은 사람은 우리의 신나는 사물놀이 배우기에서 답을 찾기도 합니다. 이렇게 각자 개성에 맞게 혹은 취미를 위해 우리주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