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사랑의 손길로 피어난 문현동 벽화마을과 전포동 돌산공원
이정례/부비 리포터 2015-10-20
아미동 비석문화마을과는 다르게 6.25피난민들이 공동 무덤위에 판자촌을 지으면서 형성된 마을이 문현동 안동네마을이다. 황령산 자락에 문현동에서 전포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에 자리잡은 문현동 안동네 마을은 바깥사람들에게는 전포동 돌산마을 또는 황령산마을로도 불린다. 2008... -
유배온 신라인들이 살았다는 닥밭골마을
정헌숙/부비 리포터 2015-10-20
신라가 멸망하고 고려가 창건되자 고려에 대항하던 신라인들이 유배를 온 곳이 바로 서구 동대신 2동에 있는 닥밭골마을이라고 한다. 원래 이 마을의 이름은 '고분도리'였다고 한다. 그런데 이곳에는 한지를 만드는 닥나무가 많이 자라서 유배를 온 신라인들이 이 닥나무로 고리짝... -
이색체험코스 자리로 자리잡은 영주동 모노레일
김홍표/부비 리포터 2015-10-12
민주공원, 중앙공원을 구경하고 난 뒤 부산디지털고 정류장에서 내려오다 보면 영주동 산복도로 모노레일을 볼 수 있다. 하루 뚜벅이를 하였지만 왠지 타 보고 싶은 마음이 들 정도로 이색적인 매력이 있다. 영주동 모노레일은 관광용이나 상업용이 아닌 고지대 주민들의 복지를 위... -
붉은디 행복마을 치안올레길로 걱정끝!~
황은영/부비 리포터 2015-10-12
부산 도심에서 아름다운 그림으로 꾸며진 벽화마을을 종종 볼 수 있는 곳이 많습니다. 하지만 도심을 아름답게 꾸미는 그림의 용도 가운데 주민들의 안전과 치안을 위해 꾸며진 안심예방의 디자인 '셉테드'라는것을 아는 사람들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이름도 생소한 '셉테드'에... -
농촌 생활을 한 눈에 들여다보는 농가월령도
이정례/부비 리포터 2015-10-12
부산박물관의 신수유물소개전의 세 번째 전시인 '우리 선조들의 삶 농가월령도' 전시회가 9월 1일부터 11월 29까지 열리고 있다. 최근 입수한 기증수탁 유물이나 보존처리가 끝난 유물들을 소개하는 신수유물 소개전은 최근 보존처리를 완료한 '농가월령도'다. 이번의 '농가... -
신라화랑도가 수련한 ‘선암사’ 문화재도 있다
황복원/부비 리포터 2015-10-12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자리한 천년고찰 백양산 '선암사'(이하 절)는 신라 문무왕 15년(675)에 원효대사가 창건한 절이다. 선암사의 처음이름은 견강사이었다. 뒷산 절벽 바위에서 신라의 국선 화랑도들이 수련하였다고 하여 선암사로 부르게 된다. 절의 배치는 대웅전을 비롯... -
“와, 월척이다”
박인부/부비 리포터 2015-10-12
오이소! 보이소! 사이소! 자갈치 시장을 찾는 사람들에게 외치는 정겨운 자갈치 아지매들의 목소리입니다. 매년 10월 생동감 넘치고 열정을 느낄 수 있는 수산물 축제 한마당이 남포동 자갈치 시장 일원에서 열리고 있답니다. 각종 개막식, 불꽃놀이, 거리 퍼레이드에 일자별 ... -
부산 하면 딱 떠오르는 공연작품, 있을까?
정헌숙/부비 리포터 2015-10-12
대구의 어느 시인이 신문에 기고한 글이 생각난다. 그는 '대구하면 딱 떠오르는 공연작품이 없다'라고 말하며 그 이유는 대구시가 여러가지 무대공연축제를 개최하고 있지만 가능성 있는 작품을 지속적으로 개발 발전시키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부산은 어떨까. 부산 하... -
시대를 넘고, 세대를 넘어 그날을 기억합니다
김광영/부비 리포터 2015-10-12
6.25전쟁에서 유엔군이 첫 참전한 전투가 무엇일까? 막상 물어보면 딱히 생각나는 것이 없다.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은 뚜렷이 기억하지만, 유엔군의 다른 참전 작전에 대해 별로 아는 바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유엔기념관으로, 부산에 생겨진 '유엔평화기념관'과 함께 ... -
동해남부선 옛 철길을 거닐다
김혜민/부비 리포터 2015-10-06
철로를 걷는 것은 낭만적이면서도 스릴 있는 일이 아닐까 싶다. 영화 박하사탕에서 설경구가 달려오는 기차 앞에 두 팔을 번쩍 벌리는 장면을 따라 해 보고 싶었지만 까닥 잘못했다가는 목숨을 반납해야 하니 위험한 짓을 금물. 철로를 마음껏 걸을 수 있는 곳이 생겼다. 해운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