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을숙도철새공원 철새들의 사랑놀이
황복원/부비 리포터 2015-12-08
부산광역시 낙동강하구 '을숙도'는 천연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된 겨울철새들의 공원으로, 하구습지를 보호하고 생태보존하기 위해 많은 노력으로 철새들이 찾아와서 겨울나기 둥지를 틀고 있다. 철새들이 온갖 자기들만의 사랑표현을 한다. 철새들은 인간이 접근을 해도 관심 없다.... -
“이런 전화는 사기전화예요”
김홍표/부비 리포터 2015-12-08
은행, 지하철,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곳에 붙어있는 이런 전화는 사기전화예요 포스터를 볼때마다 대한민국의 부끄러운 자화상이 아닐까 싶다. 얼마나 사기꾼들이 판을 치고 또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많았으면 이런 포스터들이 붙었을까 생각해본다. 단순히 관공서, 우체국 택배를 사칭한 전화사기부터 스미싱, 파밍 등 전화금융사기가 날로 진화하고 있어 걱정이다. 컴퓨터... -
철로변의 버려진 땅의 화려한 변신 패션비즈스퀘어
이정례/부비리포터 2015-12-08
동구 범일2동 성남초등학교 인근 철로변의 버려진 땅이 전국 최초로 창업, 주민 커뮤니티 시설인 '패션비즈스퀘어'로 탄생했다. 영가대 본터가 적힌 마을길 안쪽에 절제된 검은색의 패션 기둥과 은행나무, 하얀 2층 건물이 한 눈에 들어온다. 1층에는 주민커뮤니티실, 편집샵,... -
국립부산과학관에서 우리 아이의 꿈을 찾아볼까?
정헌숙/부비 리포터 2015-12-07
이제 곧 겨울방학이다. 방학이 되면 아이들은 방안에서 컴퓨터게임에 몰두하고 그런 아이에게 엄마들은 끝없이 잔소리를 하며 하루를 보낸다. 이제는 그런 지겨운 일상의 반복은 그만두고 기장의 동부산관광단지에 생긴 국립부산과학관에 가보면 어떨까? 국립부산과학관은 동부산 롯데몰... -
조선시대 ‘궁중한복’ 우리한복이 최고이다
황복원/부비 리포터 2015-12-07
우리국민은 결혼식장에 갈 때는 정장, 장례식장에 갈 때는 검은 정장에 검은 넥타이를 매고 간다. 옛날은 혼례나 상가에 대한 동방예의로 우리의 전통한복이다. 한복의 역사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로부터 시작된다. 부족국가시대를 거쳐 삼국시대에 두루마기를 중심으로... -
125년 역사를 간직한 부산 최초의 천주교회 범일성당
김홍표/부비 리포터 2015-12-07
개항기때 동구 범일동에 설립된 부산교구 소속 최초의 천주교회가 '범일성당'이다. 범일동과 좌천동의 과거 흔적이나 명소를 잇는 '부산의 부산 이바구길'에 범일성당이 포함되어 눈길을끈다. 특히 범일성당은 1889년부터 2014년까지 125년의 성당 역사를 집대성한 화보 '... -
자녀를 둔 부모님이 꼭 알아야 할 안전가이드라인
이정례/부비 리포터 2015-12-07
자녀를 둔 부모라면 한 번쯤 자녀가 전기 콘센트에 젓가락을 꼽아 큰 일 날 법한 아찔한 기억이 있을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벌어질 수 있는 어린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안전가이드라인 책자와 웹툰이 나와 눈길을 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에서 만든 책자로 교통안전부터 중독안전까지 주제를 다룬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안전가이드라인'... -
‘코딜리아 페트’ 인어공주 탄생하다
황복원/부비 리포터 2015-12-03
부산광역시해운대에 있는 동백섬(이하 섬)은 관광객이나 시민에게는 즐거운 휴식공간이자 볼거리가 참 많은 부산의 대표적인 휴양지이다. 섬에 특별한 손님이 찾아왔습니다. 플라스틱 왕국 아일랜드 공주가 찾아왔다. 섬을 들어서는 입구에 페트병 인어공주는 폐품으로 버려지는 재활용... -
“단단하고 따뜻한 디딤돌을 소개합니다”
황은영/부비 리포터 2015-12-03
부산 사상구 명품가로공원에 오늘을 따뜻한 마음이 공원 가득합니다. 이웃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함께하는 사상구의 희망디딤돌 복지한마당이 개최되었기 때문입니다. 이곳에는 사상구의 각 동마다 주민위원으로 구성된 희망디딤돌회원들이 소외된 이웃을 돕는 다양한 활동을 알리고 복지 ... -
부산의 멋있는 버스 ‘1011번’ 타보니
정헌숙/부비 리포터 2015-12-03
부산의 해안선을 달리는 1011번 버스가 개통을 했다. 워낙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버스 노선이라 나도 한번 타봐야겠다는 생각에 개통일인 28일 장산역에서 버스를 기다렸다. 그런데 버스는 출발지인 기장 청강리에서 이미 만석이 되어 더 이상 탈 수가 없었다. 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