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사 목록
-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김광영/이야기 리포터 2016-10-20
구한말 격랑의 시대, 국권을 상실한 암울한 터널, 그 속에서도 민족혼을 지키고자 한 선조들의 고결한 정신이 있었다. 한국 최초의 국민운동으로 평민에서 상공인, 기생, 거지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였다. 1904년 강제로 체결된 한일의정서, 대한제국에 사회기반시설을 만든... -
평화공원 ‘국화꽃축제’ 장관이다.
황복원/이야기 리포터 2016-10-17
부산광역시남구에 위치한 평화공원은 매년 10월 상달에 ‘국화꽃축제’를 한다. 금년은 오는 21일부터 다음달 11일(24일간)까지 국화꽃전시를 한다. 이 행사는 남구 오륙도축제를 금년은 오륙도 평화축제로 이름을 바꿔 21일부터 23일까지 병행한다. 국화꽃축제에 전시할 국... -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되어야 한다
정헌숙/이야기 리포터 2016-10-16
전기를 많이 쓰는 서울과 수도권에는 원자력 발전소가 하나도 없는데 부산지역에는 왜 원자력 발전소를 그렇게 많이 건설하는 것일까? 또 정부의 역할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최우선일텐데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참상을 보고도 여전히 원전을 건설하고 있는 ... -
시장 밤 하늘에 울려퍼지는 초량전통시장 SONG
황은영/이야기 리포터 2016-10-15
초량 이바구 야시장에 때 아닌 밤하늘에 울려 퍼지는 노래소리가 한창입니다. 초량 상인들은 물론이고 초량 시장을 찾은 관광객과 방문객들까지 손에 손에는 초량 전통시장 SONG라고 쓰인 악보를 들고 시장 송을 따라 불러 봅니다.올해도 아름다운 초량 이바구 야시장의 밤 하늘... -
세계와 나를 잇는 글로벌 인문강좌 열기 뜨겁다
김홍표/이야기 리포터 2016-10-13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인 ‘세계와 나를 잇는 글로벌 인문강좌’가 부산외국어대학교 트리니티홀에서 10월 11일부터 12월 3일까지 매주 화요일 7시부터 2시간동안 열리고 있다. 이 강좌는 부산외국어대학교 CORE사업단과 평생교육원의 교수님들이 부산 시민들을... -
만덕사지의 창건과 ‘당간지주’
황복원/이야기 리포터 2016-10-10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에 있는 ‘만덕사지’는 문화재 지정 부산광역시기념물 제3호는 1972년 06월 26일 지정한다. 즉 만덕사지라고 하는 것은 고려시대 절터였다. 동래 온천동에서 구포로 넘어가는 만덕고개의 서쪽 산중턱에 있는 이 절터의 주위에는 사기寺基(절터)부락이라... -
부산역 광장에서 만나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생활공간 사진전
황은영/이야기 리포터 2016-10-09
코리아 세일 페스타를 알리는 부산역 광장에서는 일렬로 늘어선 사진전시에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있습니다.부산역 앞의 차이나 특구의 차이나타운 축제 알림판과 함께 전시중인 사진전은 바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EU의 지속 가능한 생활공간 사진 전시회"라고 합니다. 유럽 연... -
부산바다의 든든한 버팀목!! 부산바다는 안전합니다.
황은영/이야기 리포터 2016-10-05
아름다운 바다로 둘러싸인 부산은 시민은 물론 많은 관광객이 해양 스포츠를 즐기기에 그저그만인 곳입니다. 우리가 이렇게 멋진 바다에서 즐겁게 바다를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데는 다양한 분야의 숨은 일꾼들이 있기 때문. 그 중 부산 해양경찰이 있습니다.부산시 영도구에 자리한... -
한두 번 피어 보는 사람들에게 행운을 가져다주는 소철나무 꽃
이정례/이야기 리포터 2016-10-05
은행나무, 메타세퀘이어와 함께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소철나무 꽃을 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100년에 한두 번 피어 보는 사람들에게 행운을 가져다 준다는 100년된 소철이 목장원 야외광장에 피어 있다. 소철은 암수가 다른 그루에서 자라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50년에서... -
부산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일본말
정헌숙/이야기 리포터 2016-10-05
부산은 지리적으로 일본과 가깝기도 하지만 역사적으로도 왜관이 설치된 곳이어서 타지역 사람들보다 일본말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부산은 생선회의 도시라서 그런지 먹거리를 이야기 할 때 부산사람들은 '회 한 사라' 란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사라' 는 접시를 뜻하는 일본말이므로 '회 한 접시' 라고 하는 것이 바른말이다. 예전보다는 일본말 사용이 많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