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핫플 '그림자 없는 섬' 영도 보물 찾기
우리 어디가? 당일치기 영도 여행
- 내용
- "얘들아, 우리나라에서 인구밀도가 제일 높은 섬이 어딘지 아니?" - "제주도요." - "아닌데∼!" - "그러면 거제도가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크니까 거제도?" - "땡! 영도가 우리나라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섬이야." - "설마…, 영도는 계속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던데요?" - "과거에 비해서 인구가 많이 줄었다는 거죠. 섬이라는 지형적인 문제, 6·25 전쟁 중에 피란민들이 갑자기 들어와서 형성된 마을이 많아서 인구가 많이 줄었어도 여전히 인구밀도는 높아요." - "아빠, 오늘은 우리 어디가요?" - "부산의 보물섬 영도. 조선시대까진 끊을 절(?), 그림자 영(影), 섬 도(島), 절영도라고 불렀어. 해방 이후에 절(?)자를 빼고 영도(影島)라고 했지. 요새 여기가 부산 최고의 핫플레이스란다."  
 △부산 대표 핫플 영도 흰여울마을.- 영도에 핀 검은 보석 `커피' - 오늘은 날씨가 추우니까 승용차로 이동할거야. 지금 우리가 지나는 곳이 `영도대교'야. 매주 토요일 오후 2시부터 2시 15분까지 다리가 반으로 갈라져서 한 쪽이 마치 새의 날개처럼 하늘로 들어 올려져. - 엄마가 늦잠을 자는 바람에 배가 좀 출출하실 건데 우선 모닝커피와 브런치로 간단히 배를 채우고 영도를 구경해볼까?  
 △복합문화공간 피아크 카페.- 영도하면 커피잖아.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커피 원두의 94%가 부산항을 통해서 전국으로 팔려나가. 그러니 다른 도시보다 원두가 신선하겠지. 그래서 부산에선 더 맛있는 커피를 맛볼 수 있는거야. - 게다가 최근에 목욕탕, 배 수리 공장 같은 과거 역사를 간직한 건물을 개조한 커피공장과 카페가 잇달아 문을 열었어. 눈앞에 크고 작은 배들이 정박해 있고, 배 수리 공장들이 늘어서 있는 영도의 독특한 풍경과 신선한 커피를 맛보기 위해서 관광객들이 몰려들고 있어. 고급 커피와 다양한 문화 행사, 회의를 종합적으로 즐기는 거지. 그래서 이젠 영도를 `커피섬 영도'라고 불러. 한국인 최초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WBC) 우승 바리스타를 배출한 모모스 로스터리&커피바와 무명일기 부근을 부산시가 `커피특화거리'로 꾸며놓았고, 근처에 깡깡이 예술마을이 있어서 부둣가와 골목 사이사이에 볼거리가 많아. - "아빠, 완전 영도 문화관광해설사 같아요." - 75광장 해안관광도로 드라이브 - 브런치 맛있었어?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영도 여행을 시작해볼까? - 흰여울마을 도로를 지나서 태종대 쪽으로 가는 해안길은 탁 트인 바다를 바라보면서 드라이브하기 참 좋은 길이지. 저기 `75광장'에서 잠깐 내려 멀리 태평양으로 펼쳐진 영도 앞바다를 구경해볼까. - "75광장은 왜 75광장이래요?" - "1975년도에 조성됐다고 75광장이라고 이름 지어졌지." - "아빠, 저 배들은 왜 안 가고 저기 바다 위에 그냥 떠 있어요?" - 좋은 질문이야. 배들이 안 움직이고 가만히 있는 저기를 `묘박지'라고 불러. 배들이 잠깐 정박하는 주차장 같은 곳이지. 큰 배들이 부산항에 들어오기 전에 휴식을 취하면서 기다리거나 다른 항구로 가기 전에 기름을 넣기 위해서 정박하는 곳이란다. - "배들이 점점이 떠 있는 모습이 너무 예뻐요." - "노을이 지고 바다에 어둠이 내릴 때 배에 하나둘 불이 켜지면 더 예뻐." - 자, 그러면 본격적으로 해안관광도로를 달려볼까? 감지해변과 동삼중리, 태종대를 연결하는 도로인데 창밖으로 보이는 바다 풍경이 참 아름답단다. 중간에 해녀박물관이 있어. 예전엔 제주도에서 영도로 건너오신 해녀들이 많이 살았단다.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제주 사람이었던 때도 있었어. 그래서 영도엔 제주도와 관련된 것이 많아.  - △영도 국립해양박물관 아쿠아리움에서 아쿠아리스트와 관객이 소통하는 모습.  
 △새단장 한 국립해양박물관의 거북선 전시- 바닷속 보물찾기 국립해양박물관 - "2층 어린이박물관은 공사 중이래요. 내년 2월 말에 다시 문을 연다니까 봄에 다시 오면 되겠네요. 어떻게 새 단장을 했을지 정말 기대 되요. 내년 봄에 또 올 거죠?" - 그럼. 또 와야지.^^ 와∼! 우리가 딱 시간에 맞춰서 왔네. 아쿠아리스트가 물속에서 가오리에게 직접 먹이를 주고 있어. 물고기 먹이 주는 피딩쇼가 펼쳐지고 있어. - "우와∼ 금방 내 머리 위로 상어가 지나갔어요. 하하하" - 국립해양박물관에는 해양관과 항해관, 2개의 상설전시관이 있어. 해양관에는 인류가 바다와 함께 생활하면서 몸소 보고 경험한 다양한 기록과 예술, 해양 문화를 주제별로 전시해 놓았어. - 항해관에는 여러 나라의 배와 항해 도구, 바다를 탐험했던 모험의 역사들을 펼쳐놓았지. 전시실 중앙에 무리를 이루고 있는 범선들이 멋있지 않니? 우리 조상들이 어떻게 바다를 이용했는지, 또 바다를 지키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과 연구를 했는지도 볼 수 있어.  
 △미디어아트 전시관 아르떼뮤지엄 부산.- 국립해양박물관은 해안산책로가 멋있어서 산책만 해도 좋겠다. 그런데 해양박물관에 미디어아트가 멋있지 않았니? 더 멋지고 황홀한 미디어아트가 있는데 가볼래? - "어딘데요?" - 아르떼뮤지엄. 가장 최근에 생겨서 다른 데보다 웅장하고 화려하다고 해. 아빠가 아르떼뮤지엄에서 멋진 인생사진 남기는 법 가르쳐 줄게. 어두운 색 옷을 입고 가면 사진빨 진짜 좋아. 그 옆에 건물이 복합문화공간 피아크라고 해. 아르떼뮤지엄 구경하며 인생사진 많이 찍었다면 피아크에서 바다를 보면서 쉬어 주는 것이 상식이지. - 땅 속 보물 고구마 … 첫 재배지 영도 - 마지막으로 조내기 고구마 역사 기념관으로 가볼까? 우와∼, 고구마처럼 쫄깃하구만. 올라가는 길이 거의 청룡열차 탄 기분인데.^^  - △조내기 고구마 역사기념관 전시장 모습  
 △조내기 고구마 역사기념관에서 판매하는 고구마빵.- 영도는 우리나라에서 고구마를 제일 처음 재배한 곳이야. 국립해양박물관에서 조선통신사가 일본에 타고 간 배와 활동 자료들 봤지? 조선통신사로 갔던 조엄이라는 분이 일본에서 고구마를 처음 보고, 조선 백성들이 흉년에도 굶지 않고 먹을 수 있는 식량이 되겠다고 생각해서 가져온 거야. 고구마의 이동 경로도 인류가 해양을 개척했던 역사와 연결돼 있지. 여기선 저 멀리 금정산이랑 장산까지 부산이 다 보이는구나. - "어? 여기 쿠폰북이 있네. 모든 메뉴 1,000원 할인. 오, 여긴 소주 1병 서비스로 준다는데… 여기 어때?(씨익)" - "아빠! 운전하셔야 되잖아요. 끊을 절(?), 그림자 영(影), 절영도에서 술부터 끊으세요. 아빠." - "알았어, 얘들아. 끊을 절(?), 술 주(酒), 절주 도전해볼게." 〈끝〉 - 글·원성만 사진·권성훈 - Tip - ○ 국립해양박물관은 주차장이 넓다. 기본 3시간 2천 원에 추가 10분당 100원, 일 최대 요금 1만 원이라 저렴하다. 경차, 친환경 차량, 장애인, 다자녀 가정은 증빙자료를 제시하면 50% 감면, 국가유공자는 무료다. - ○ 아르떼뮤지엄 이용객은 2시간 주차 무료다. 2시간 초과시 10분당 500원. 옆에 있는 복합문화공간 피아크 주차장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피아크에서 커피를 마시고 주차 등록을 하면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다. - ○ 조내기 고구마 역사기념관 주차장이 좁다. 바로 옆 봉래산 공영주차장에 차를 대는 것이 좋다. 영도 쿠폰북은 부산시 관광안내소, 영도관광안내센터, 조내기 고구마 역사 기념관, 영도구청에서 구할 수 있다. - 기획 연재 〈우리 어디가〉는 `영도편'을 마지막으로 끝을 맺습니다. 2025년 1월호부터는 부산의 매력을 소개하는 새로운 기획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작성자
- 조현경
- 작성일자
- 2024-12-02
- 자료출처
- 부산이라좋다
- 제호
- 
							부산이라좋다 제202420호 
- 첨부파일
- 
							
-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